김소영 위원장 포함 7인 위원 선정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카카오 관계사의 준법·윤리경영을 감시할 외부 기구인 ‘준법과 신뢰 위원회’가 1기 위원 명단을 공개하고 위원회 운영 원칙과 앞으로의 일정 등을 15일 발표했다.
이날 카카오에 따르면 위원회는 김소영 위원장을 포함해 위원 7인으로 구성된다. 김 위원장은 위원 구성에 대한 전권을 일임 받아 직접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로 위원을 선임했다.
위원은 신뢰도 제고를 위해 법률·시민사회, 학계, 언론, 산업, 인권, 경영 등 각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전문가들로 선정됐다. 이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의 목소리를 전할 수 있는 인물들로 구성했다.
외부 위원은 객관성 확보를 위해 카카오와 직접 관련이 없지만 벤처 IT 업계 전반에 관심을 가져온 인사들로 발탁했다고 카카오는 설명했다.
이런 기준을 통해 선정된 위원은 ▲김용진 착한경영연구소장(프리챌 공동창업자) ▲안수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전 한국은행법학회장) ▲유병준 서울대학교 경영대 교수(전 한국벤처창업학회장) ▲이영주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이사장(전 사법연수원 부원장) ▲이지운 서울신문 전략기획실장(전 편집국장) ▲김정호 카카오 경영지원총괄 등 총 6명이다.
위원회는 카카오와 독립된 외부 조직으로 설립된다. 관계사 준법감시와 내부통제 체계를 새롭게 하는 강력한 집행기구 역할을 맡을 것이란 분석이다. 위원회는 준법의무 위반 리스크 등이 확인된 경우 ▲관계사에 대한 내부조사 요구권 ▲위원회의 직접 조사 실시권 ▲핵심 의사 결정 조직에 대한 긴급 중단 요구권 등 실효적이고 직접적인 제재 권한을 갖는다.
특히 위원회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관계사와 협약을 체결하고 각사 이사회 결의를 거친 후 위원회 활동을 시작한다. 또한 위원회는 위원들만이 아니라 정책의지를 집행할 수 있는 실무기구로 사무국을 설립하고 각 관계사의 법무·준법·감사 조직과의 긴밀한 소통을 진행해 준법문화와 신뢰경영원칙이 회사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별도 웹사이트 등을 열고 활동 내역을 지속 공개하며 실체적 진실에 기초해 투명성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김소영 위원장은 “우리나라의 벤처 산업을 일군 대표적 IT기업인 카카오가 지금은 여러 의혹들 때문에 사회적 비난에 직면한 만큼 책임 있는 기업으로의 재탄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를 위해 숫자로 드러나는 매출 등 경영지표보다 준법과 상생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윤리경영의 성과가 카카오 공동체의 경영 기본 원칙으로 작동할 수 있게 제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카카오, 3분기 영업익 1,403억원…전년비 7% 감소
- 카카오, ‘준법과 신뢰 위원회’ 설립…초대위원장 김소영 전 대법관
-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금감원 특사경 출석해 조사 받아
- 法,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구속영장 발부…SM 시세조종 의혹
-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 카카오 4차 공동체 경영회의 참석…홍은택 대표 동석
- 검찰, 카카오 판교 사무실 압수수색…SM 시세조종 의혹
-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 김소영 준법과신뢰위원장 만나
- 카카오, 5차 공동체 경영회의 열어…책임경영구조 강화
- 홍은택 카카오 대표 "각종 의혹 조사단 꾸려 감사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