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업 공공기관 보유 드론 중 81.3% 중국산 드론…총 29억2,806만원 예산 사용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세계 최대 드론제조업체 DJI를 비롯한 중국산 드론을 다수 수입해 개조해 사용한 사실이 확인되고 중국산 드론을 사용했을 때 국가 안보상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과 호주 등 주요 국가들이 중국산 드론에 대한 규제를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주요 농업·임업 공공기관이 사용하는 드론 10대 중 8대가 중국산 드론인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승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농림축산식품부와 산림청, 농촌진흥청 등의 드론 보유 현황을 전수조사한 결과, 8개 농업·임업 공공기관이 보유한 드론 482대 중 81.3%인 392대가 중국 기업이 제조한 드론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들 8개 기관은 중국산 드론을 구입하기 위해 총 29억2,806만 원의 예산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구조 개선과 농업 생산성 향상, 농기계 구입 비용 경감을 위해서 전국 농가들에게 연리 2.0%의 저리로 농업용 드론 구입자금을 지원하는 농업용 드론 융자 지원액도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92억2,422만 원 가운데 84.5%인 77억9,259만 원이 중국산 농업용 드론 구입비로 지원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최근 중국산 농업용 드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중국산 농업용 드론 구입 자금에 대한 융자 건수도 2019년 50건에서 2020년 78건, 2021년 123건, 2022년 191건 등 총 502건으로 중국산 농업용 드론에 대한 융자지원은 매년 큰폭으로 증가했지만, 국산 드론에 대한 융자 건수는 연간 30건이 채 되지 않았다.
또, 8개 농업·임업 공공기관이 보유한 국산 드론 77대 중에는 껍데기만 국산일 뿐, 실제 부품은 중국 등 해외에서 전량 수입해 국내에서 조립만 한 드론이 8대(10.5%)나 있었고, 부품 국산화율이 50% 미만인 드론도 43대로 56.6%에 달했다.
정부 융자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국산 농업용 드론 90개 가운데 8개(8.9%)는 국산 부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드론이었고, 31개(34.4%)는 부품 국산화율이 50% 미만이었고, 50% 이상 80% 미만인 드론도 28개로 31.1%를 차지했으나, 모든 부품을 국산 부품으로 사용한 국산 드론은 단 1개도 없었다.
김승남 의원은 “최근 농업용 드론은 드론을 이용해 벼를 심는 드론직파를 비롯해 항공방제, 공익형직불금 수령 농가 부정수급 방지, 산림재해 방지를 위한 각종 감시 활동, 산불진화 활동, 소나무재선충병 예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우리나라 농업용 드론 시장은 사실상 중국산 드론에게 점령을 당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농림축산식품부와 산림청, 농촌진흥청 등이 드론에 대한 활용률만 확대할 것이 아니라, 국산 드론에 대한 구입과 융자 지원도 확대해 국산 농업용 드론 산업이 체계적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2023 국감] 위성곤 의원 "가루쌀 가공식품 10개 중 '글루텐프리 인증'은 0개"
- [2023 국감] 양금희 의원 "온누리상품권 관리 총체적 부실, 5년간 부정환전액 404억"
- [2023 국감] 김영주 의원 "제대혈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 소비자 현혹해 고가에 팔려"
- [2023 국감] 구자근 의원 "공영홈쇼핑 판매제품에서 발암물질·세균 검출"
- [2023 국감] 김영주 의원 "인공눈물 가격인상 없다"
- [2023 국감] 산업은행, 5년간 대기업 여신 ‘24조’
- [2023 국감] 수소 없는 수소경제…수전해 원천기술 확보 시급
- [2023 국감] IRA 직후 친환경차 美 시장 점유율 급감…2위에서 5위로 밀려나
- [2023 국감] 산업부, 공기업 출자회사 계획 99% 승인…사전협의 제도 형해화 전락
- [2023 국감] 지역난방에 SMR 활용 방안 수립중인 한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