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지난 8월, 기업대출 747조4,893억원…가계 대출 규제에 ‘풍선효과’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주요 시중은행의 기업대출이 1년 새 '60조원' 이상 급증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에 따른 ‘풍선효과’라는 분석이다. 은행들이 가계대출 잔액을 늘리기 어려운 만큼 기업대출 영업을 강화하는 전략으로 선회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대출 자산 증대와 함께 선제적 리스크 관리 필요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과도한 금리 경쟁으로 마진을 크게 줄이거나, 한계기업과 같은 비우량 기업에도 대출을 실행하는 경우가 늘어나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8월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747조4,89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687조6,747억원) 보다 60조661억원(8.7%) 증가한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가계 대출 잔액은 696조4,509억원에서 680조8,120억원으로 15조6,389억원(2.2%) 줄었다.

이 같은 흐름은 은행채 발행 규모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기업대출과 같이 늘어나는 자금수요에 대응하고자 은행채 순발행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전체 은행권으로 범위를 확대하면, 은행들은 올해 7월부터 지난달까지 7조4,284억원 규모의 은행채를 순발행했다. 해당기간의 만기물량은 56조7,416억원 수준이었지만 은행들은 64조1,700억원의 은행채를 발행했다. 전체 만기물량 대비 113% 수준을 찍은 셈이다.

특히 은행들은 8~9월 은행채를 집중적으로 발행했다. 6월에 이어 7월까지도 4조6,211억원 규모의 순상환 기조를 이어갔다. 하지만 8월 3조7,794억원, 9월 8조2,700억원의 순발행에 나서면서 방향을 바꿨다.

기업대출 증가는 가계부채에 대한 금융당국의 규제 기조가 영향을 미쳤다. 또, 회사채 발행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간접금융을 택해 은행 문턱을 두드리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은행들의 건전성 하락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03곳으로 조사됐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7년 이상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자산규모와 사업에 특성에 따라 이들의 부실 위험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경기 악화에 따른 매출 부진, 담보 하락 등 불안 요인이 있는 만큼 리스크 관리 필요성은 커진 상태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5대 은행의 기업 대출에서 발생한 고정이하여신은 2조7,69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2% 늘었다. 부실률은 0.3% 수준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취약계층을 상대로 시행돼 온 만기연장·상환 유예조치의 착시 효과를 걷어내면 안정화 단계라고 볼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이 부실 채권을 손실 처리한 규모도 2조2,130억원으로 1년 전보다 두 배 넘게 늘었다. 지난해(2조2,713억원)와 맞먹는 수준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자기자본비율은 양호한 수준이지만) 위험가중자산 비중 등 목표치를 설정하고 기업대출 자산 증대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고 내수 회복이 더뎌진 상황에서 한계 기업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를 기본 인식으로 가져가면서 보수적인 영업 방식을 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은행들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