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 판교아지트 정문 앞에서 카카오 노조가 포털 '다음'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내독립기업(CIC)의 별도 법인 분사 반대 집회를 하고 있다.
19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 판교아지트 정문 앞에서 카카오 노조가 포털 '다음'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내독립기업(CIC)의 별도 법인 분사 반대 집회를 하고 있다.

무분별한 분사로부터 시작된 위기…"모든 계열사와 공동투쟁 할 것"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카카오 노조가 19일 성남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집회를 열고 포털 서비스 '다음'을 운영하는 카카오 콘텐츠 CIC(사내 독립기업) 분사·매각 반대를 요구했다.

노조는 입장문에서 "카카오 경영진은 지난 13일 콘텐츠 CIC 분사를 발표했다"며 "분사 이후 지분 매각도 감안하고 있다고 밝혔기에 이번 결정은 사실상 매각과 다를 바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간 카카오의 위기는 준비없는 무분별한 분사로부터 시작됐다"며 "카카오커머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카카오페이,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 수많은 분사, 매각 사례에서 크루들은 고용불안을 겪었고 혼란과 위험은 온전히 크루들의 몫이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무책임한 분사와 매각은 모두의 노동환경을 악화시키고, 동료들간의 반목과 갈등을 양산하고, 결국 크루들은 방치될 것"이라며 "크루유니언은 무책임한 분사, 매각를 반대하며, 크루들의 권리를 위해 모든 역량을 모아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임단협 교착 상황도 거론하며 "포털업계 보수 1위는 카카오 홍은택 전 대표로 30억원이 넘고, 적자폭이 커지면서 어려움을 겪는 카카오게임즈 조계현 전 대표는 작년 상반기에만 22억원을 받았다"면서 "실적이 나빠져도 경영진의 보수는 오히려 늘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책임경영, 사회적 신뢰 회복을 목표로 쇄신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이번 분사매각 결정은 이에 정면으로 반하는 행위"라면서 "무책임한 분사와 매각을 저지하고 모든 계열사와 함께하는 공동교섭 공동투쟁으로 임단협을 체결해 고용안정성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노조는 무책임한 구조조정 및 분사·매각 중단과 함께 오는 25일 예정된 주주총회 이전까지 임단협 교섭에 진전이 없을 경우 일괄 결렬을 선언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키워드
#카카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