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인공지능 기반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하 ‘KCA’)은 방송작품(콘텐츠) 제작에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2025년 인공지능·디지털 기반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 공모 설명회를 오는 17일 누리꿈스퀘어에서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2004년부터 방송프로그램 제작을 지원해 온 해당 사업은 올해부터 제작·지원하는 모든 방송작품(콘텐츠)의 ‘기획-제작(후반제작)-전송’ 단계에서 AI 영상 제작, 디지털휴먼, AI 자동 재녹음(더빙) 등 AI‧디지털 기술 활용을 의무화한다. 또한 방송작품(콘텐츠)의 품질과 제작 효율성을 높여 국제적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확장으로 침체에 빠진 국내 방송제작 생태계의 혁신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해외진출형 방송 콘텐츠 부문은 드라마 및 비드라마 분야에 방송사 자체보유기술 및 실증 사업을 통해 검증된 인공지능·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칸시리즈 등 해외 작품 시장(콘텐츠 마켓)을 통해 방송작품(콘텐츠) 뿐 아니라 관련 인공지능 기술도 해외시장에 동반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총 65억원 규모로 11편의 작품이 제작 지원되며 작품당 지원금은 최대 15억원이다.
특히, 올해는 작년 ‘흑백요리사’의 흥행에 힘입어 9억원 규모의 ‘비드라마 장편 분야’가 신설되었고, 비드라마 중편 분야는 최대 지원금이 4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원이 상향 조정되었다.
공익형 방송 콘텐츠 부문은 올해 15억원 규모로 진행된다. 이 또한 제작 과정에 AI와 디지털 기술 활용을 의무화하고, 방송의 공공성과 다양성 구현을 위해 편당 제작비 규모를 확대(2024년 최대 1.5억 원 → 2025년 최대 3억 원)하여 방송작품(콘텐츠)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자 한다.
아울러 국제 공동제작 지원 분야를 신설하여 국제 관계망 강화와 방송작품(콘텐츠)의 세계 경쟁력을 제고하고, ‘광복 80주년’과 ‘2025 경주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주제로 한 방송작품(콘텐츠) 제작지원을 통해 국가 위상 강화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