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개 시스템 욕실 설치공사 업체, 7년간 낙찰예정자 합의·투찰가격 공유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9개 시스템 욕실 설치공사 업체들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약 7년간 52개 건설사들이 발주한 총 114건의 시스템 욕실 설치공사 입찰과 관련해 사전에 낙찰예정자를 합의하거나 투찰가격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담합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총 67억2,400만원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9개 업체는 대림바토스, 서진하우징, 성일, 에스비씨산업, 유니텍씨앤에스, 이현배쓰, 재성바스웰, 한샘, 한샘서비스 등이다.
시스템 욕실이란 욕실공사의 공정을 단순·표준화시킨 건식공법으로 기존 습식공법 대비 방수기능이 향상되고 시공속도가 빨라서 아파트·호텔·오피스텔 등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국내 건설사들은 보통 시스템 욕실 납품과 설치공사 시 등록된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지명경쟁입찰을 실시해 최저가 투찰 업체와 계약하는데, 시스템 욕실업체들의 영업담당자들은 입찰에 참여하기 전에 모임 또는 유선 연락, 모바일 메신저 등을 통해 낙찰예정자·들러리 참여자·입찰가격 등을 합의했다.
이후 합의된 낙찰예정자는 전자우편, 카카오톡 등을 통해 들러리사에 견적서를 전달하고 들러리사는 견적서 그대로 또는 견적서 상 금액을 일부 높여서 투찰하는 방식으로 합의를 실행했다.
이번 조치는 ‘내장형(빌트인) 특판가구 입찰담합 건(2024년 4월, 시정명령 및 과징금 931억원 부과)’에 이어 아파트 내부공사 관련 담합에 대해 조치한 두 번째 사례이자, 장기간에 걸쳐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지속돼 온 시스템 욕실 설치공사 시장에서의 입찰담합을 제재한 최초의 사례이다.
공정위는 "이를 통해 시스템 욕실공사를 비롯한 아파트 건설과정 전반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지던 담합이 근절되고, 대다수 국민들의 주거공간인 아파트의 건설공사비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의식주 등 민생과 밀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담합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 기업 간 경쟁을 촉진하고,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공정위, 거짓 광고한 숙박예약플랫폼 부킹닷컴 제재
- 공정위, '필수품목 강제·리모델링 비용 전가' 파파존스 제재
- 공정위, ‘불공정 하도급 위반’ 자연과환경 제재
- 공정위, 하도급 서면 발급 의무 위반 '자연과환경' 제재
- 공정위, 은행·저축은행 약관 불공정 조항 79개 시정 요청
- 공정위, 캠핑장·휴양림 예약 플랫폼 불공정 약관조항 시정
- 공정위, 다단계판매사 신규등록·폐업 등 변경사항 16건 공개
- 공정위, 표시광고법 과징금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 공정위, 테크노파크 발주 공작기계 구매 입찰담합 제재
- 한샘, 3분기 영업이익 73억원…전년비 48%↑
- 대기업 계열사 3개월새 8개↓…신재생에너지 분야↑
- 한샘, 인기 소파 2종 리뉴얼 출시
- 한샘, 겨울맞이 중문 할인 이벤트
- 한샘,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 2년 연속 최우수
- 가구업체 13개사, 반도건설 빌트인 특판 입찰담합 ‘제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