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옥 전경 ⓒ LH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옥 전경 ⓒ LH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직원들의 3기 신도시 땅 투기 사태 이후 발표한 혁신 방안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직원 복지를 줄이겠다고 했으나 오히려 지난해 복리후생비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6일 이연희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LH가 지난해 직원 복리후생비로 517억원을 지출했다고 밝혔다. 1년 사이 복리후생비 지출을 207억원(67%) 늘렸다는 것이다.

2021년에 나온 LH 혁신안에 따르면 LH는 2025년까지 5년간 복리후생비를 2020년(366억원) 대비 15% 감축한 311억원 내에서 편성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 LH는 2021년 311억원, 2022년 310억원을 복리후생비로 집행했다.

하지만 지난해 LH는 집행액을 대폭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복리후생비 평균은 지난해 576만원이었으며 이는 2021년 317만원에서 259만원 늘어난 금액이다. LH는 3년 연속 경영평가 D등급을 받아 직원 사기가 저하돼 정책사업 수행에 차질이 우려돼는 만큼 노사 합의로 복지 포인트 지급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는 LH에 초과 집행한 207억원을 앞으로 복리후생비에서 차감·환수하는 방안을 초함해 신뢰 회복 조치 계획을 마련하라고 지난 8월 요구한 바 있다. 이에 LH는 올해 복리후생비를 198억원으로 낮추고 초과 금액은 내년 추가로 차감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