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뒤이어,,,박충권 의원 “부담 경감 대책 마련해야”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국내 휴대전화 요금 연체와 연체액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박충권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국민의힘)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국내 통신사업자 무선 통신 요금 연체 현황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20대의 휴대전화 요금 연체 건수는 3만9,839건, 연체액은 58억2,800만원으로 건수와 액수 모두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많았다.
30대도 연체 건수가 3만947건, 연체액 54억3,400만원으로 전체 연령층 중 두 번째로 많았다.
20대와 30대를 합치면 연체 건수가 7만8,886건, 연체액은 112억6,200만원에 이른다.
이 밖에 20세 미만은 6,923건·8억4,600만원, 40대는 3만9,684건·51억6,400만원, 50대는 3만683건·42억4,900만원, 60대는 2만3,171건·25억9,100만원, 70세 이상은 1만7,039건·14억600만원으로 집계됐다.
다른 연령층과 비교해 20~30대의 휴대전화 연체 건수와 연체액이 높은 것은 학생이나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비정규직이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경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최근에는 아예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하고 쉬는 청년층도 늘어난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일도 구직 활동도 안 하고 그냥 쉬는 '쉬었다' 인구는 지난달 256만7,000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20대는 지난해 같은 달 보다 14% 늘어난 43만8,000명을 기록했다.
박충권 의원은 "데이터량 소비가 큰 청년들을 위해 저렴한 요금제 혜택을 확대하고, 연체 요금에 대한 가산금 부과 유예 등 청년들의 통신비 부담 경감 대책을 위한 더욱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