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도걸 “가상자산, 투명·체계적 관리해야”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상위 1%가 대부분의 투자금을 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안도걸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3년말 기준 가상자산 보유현황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 빗썸에 개설된 1,669만개 계좌 중 실제 투자가 이뤄지는 활성화 계좌는 절반 이하인 770만개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의 평균 보유액은 893만원으로 이를 시가총액으로 환산하면 68조8,000억원 규모 다.
투자 규모별로 살펴보면 1,000만원 이하를 투자한 계좌수가 전체 92%를 차지했고 이들 소액 계좌의 평균 투자액은 65만원이었다.
반면 10억원이 넘는 초고액 계좌는 총 3,400여개로 이들 계좌의 총 투자액은 32조1,279 억원, 1계좌당 평균 보유액은 94억5,000만원이었다. 전체 계좌의 0.04에 불과한 이들은 전체 투자액의 절반 가까운 47%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고액 계좌 보유자 연령대로는 40대가 가장 많았고 평균 보유 규모는 50대가 평균 148억대로 가장 컸다.
10억원 이상 고액투자자 중 4050 세대가 60%를 차지하고, 이들 중장년 큰손들의 평균 투자액은 127억원으로 높았다.
안도걸 의원은 "2022년 시행예정이었던 가상자산 소득 과세가 준비 미흡을 이유로 3년째 유예되고 있어 안타깝다“며 ”보편적인 투자 대체 자산으로 자리잡은 가상자산이 범죄 등에 악용되지 않고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당국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