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간 3~4배 수준 고졸 채용 확대…일자리 200개 창출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학력중심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능력 중심의 청년 자립 선순환 모델 구축에 앞장서고자 고졸 채용을 늘리고 경력 개발을 지원한다.
한국전력공사가 고졸 인재 종합지원 대책을 수립했다고 2일 밝혔다. 앞으로 한전은 2025~2027년 3년간 고졸 제한채용 비중을 2022~2024년 대비 3~4배 수준으로 확대하고 총 200개의 고졸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그동안 한전은 고졸 입사자에게 대졸 입사자와 동일한 직급과 직무를 부여하고 재학생 맞춤형 특화 채용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올해 하반기부터 한전은 고졸 인재에게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고졸 체험형 인턴 제도를 신규 도입하고 우수 인턴에게는 공채 필기전형 가점을 부여한다.
한전은 채용을 늘리는데 그치지 않고 입사 후 대학 수준의 전문 지식을 충분히 습득할 수 있도록 산학협력을 통해 한전 맞춤형 에너지 신기술 융복합 계약학과를 에너지 공기업 최초로 신설해 일하면서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한전은 인재개발원에서 ▲고졸사원 직무특화 과정 등 맞춤형 직무교육 제공 ▲찾아가는 현장교육으로 직무교육 사각지대 해소 ▲선배 직원과의 멘토링 포함 신입사원 심리상담 등을 통해 고졸 사원들의 안정적 조직 적응을 체계적으로 도울 예정이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지난 30일 한국전력학원이 운영하는 에너지마이스터고인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를 찾아 사회진출을 앞둔 재학생들을 격려했다.
학교를 방문한 김동철 한전 사장은 “글로벌 전력산업은 빛의 속도로 변하고 있다”며 “다가오는 에너지신시대에는 단순히 대학 졸업장을 따는 것보다 그 분야에 대한 최신 정보와 검증된 실력을 갖추고 현장에서 구체적 성과를 내는게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사장은 “실력을 갖춘 청년들이 사회에 조기 진출하고 경제적으로 일찍 자립하는 것이 곧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일이며 과잉학력과 취업지연으로 낭비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여가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6일에는 사내 고졸사원 오찬 간담회를 열고 고졸 재직자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역량개발 지원책을 소개하고 애로사항을 심도깊게 사전 청취한 바 있다.
- 한전, 고객참여 부하차단 제도 본격 시행…650㎿ 고객 확보
- 에너지 공기업, 실적 개선에도 재무건전성 부담 여전
- 한전, 소기업·소상공인 금융정책 지원 나서…전력 데이터 활용
- 한국전력공사, 2분기 영업이익 1조2,502억원…흑자전환
- 한전, 중소기업과 손잡고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시장’ 진출
- 한전, 국내 최초 336㎿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건설
- 태영건설, 포천 하수관로정비사업 우협자 선정 유력
- 대기업, 신입 채용 줄어…IT업종 급감…기존 직원 퇴직률↓
- 한전, 주파수 보조서비스 시장 해외진출 업무협약 맺어
- 한국전력공사·LG에너지솔루션, 배전연계 단독형 ESS 활성화 협력 ‘맞손’
-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 세계원자력협회 심포지엄 참석
- 한전, 에너지분야 실전형 사이버공격 방어훈련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