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바이오, F&B 등 산업군으로 고객 확대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LG전자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외판 매출액을 조 단위 이상으로 육성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66년간 축적해 온 제조·생산 데이터와 노하우에 AI(인공지능), DX(디지털전환) 등을 접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올초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에 본격 뛰어들었다. LG그룹 계열사들의 생산 및 제조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는 생산기술원이 그간 진행해 온 생산 컨설팅, 공법/장비 및 생산운영시스템 개발, 생산기술 인력 육성 등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운영 노하우와 기술력을 외부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사업 원년에 해당하는 첫 해이지만 가시적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생산기술원이 LG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외부 업체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는 수주 규모는 2,000억원 수준으로 예상한다.
현재 주요 고객사는 이차전지 제조업체,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물류업체 등이다. 향후에는 반도체, 제약·바이오, F&B(식음료) 등 공장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산업군으로 적극적으로 진입하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올해 1,556억 달러(약 214조원) 규모에서 오는 2030년 2,685억 달러(약 370조원) 규모까지 성장이 전망된다.
LG전자가 지난 10년간 확보한 제조 데이터 용량은 770TB에 달한다. 이는 고화질 영화 19만7,000여 편을 저장하는 용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LG전자 생산기술원이 출원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관련 특허는 1,000건을 넘어선다.
LG전자는 이러한 제조 데이터와 노하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생산요소기술에 AI와 DX를 연계,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의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전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디지털트윈(Digital twin)을 활용하는 생산시스템 설계/모니터링/운영 ▲빅데이터 및 생성형 AI 기반 설비/공정관리, 산업안전, 품질검사 ▲산업용 로봇 등을 모두 포함한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공정 사이 아주 짧은 순간의 지연이나 미세한 오차까지도 줄여 나가는 것에 초점을 둔다. 생산/제조 영역의 효율이 곧 사업의 수익성과 직결되는 만큼 이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LG전자는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특정 영역의 단위 솔루션에 그치지 않고 공장 기획부터 설계, 구축, 운영에 이르기까지 고객 제조 여정 전체에 걸친 종합 솔루션 차원에서 접근한다. 고객사의 여건과 업(業)의 특성을 고려해 기존 공장에 대한 진단과 개선점 도출부터 투자 대비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자동화·정보화·지능화 관점에서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다.
생산시스템 설계 및 운영 솔루션은 디지털트윈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다. 공장 설계에 앞서 실제와 똑같은 가상의 공장을 만들고 향후 구축될 실제 공장의 생산과 물류 흐름을 미리 살펴 공장이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공장 운영 단계에서는 가동 데이터를 분석해 생산라인의 병목이나 불량, 고장 등을 사전에 감지하는 등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공장 자동화 차원의 다양한 산업용 로봇 솔루션도 장점이다. ‘자율주행 이동로봇(AMR)’은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센서를 탑재,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부품·자재를 공급한다.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정해진 경로 외에도 작업자나 장애물을 피해 효과적으로 움직인다.
AMR에 다관절 로봇팔을 결합한 ‘자율주행 수직다관절로봇(MM)’은 부품·자재 운반과 동시에 로봇 팔을 활용한 조립, 불량검사 등이 가능해 다양한 작업을 끊김 없이 자동화할 수 있다. 배터리가 부족한 주변 AMR을 찾아가 배터리를 교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LG전자가 내·외부서 검증받은 스마트팩토리 구축 노하우를 토대로 사업에 나서는 것은 무형자산(Intangible Asset)의 사업화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LG전자는 제품(HW) 중심이던 사업 포트폴리오를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의 무형(Non-HW)의 영역을 결합해 미래 지향적 구조로 변화시키는 것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특히 다수의 외부 기업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2030 미래비전’의 3대 성장동력 가운데 하나인 기업간거래(B2B) 사업의 고속 성장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사장은 “공장 기획부터 설계, 구축, 운영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 최적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의 제조 여정을 함께하는 파트너로 발돋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LG전자 ‘터보 히트펌프’, ‘올해의 에너지위너상’ 대상 수상
- LG전자, 獨 ‘에어솔루션연구소’ 신설…HVAC사업 강화
- LG전자, 집중 호우 피해 지역 가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 "올해 최대 매출 예상"…LG전자 가전 구독 서비스 인기
- 조주완 LG전자 CEO, “AI·디지털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 AI 로봇 시장 ‘급성장’…삼성·LG 기술 확보 ‘총력’
- [창간기획-IT] B2B서 B2C로…‘온디바이스 AI’ 전쟁 이미 시작
- LG 올레드 에보, 글로벌 14개국 소비자 매체 ‘극찬’
- LG 클로이 서브봇, 인간공학디자인상 ‘최고상’ 수상
- LG전자 ‘UP가전 아이디어 제안’ 1만 6000건 돌파
- [창간기획-재계] 밀리면 도태된다…AI에 꽂힌 대기업 투자동향①
- 독일에 ‘에어솔루션연구소’ 지은 LG전자 노림수 무엇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