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내년도 최저임금이 1만30원으로 결정된 가운데, 지난 10년간 1인당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1.23배가 되는 동안 최저임금은 2배 이상으로 오른 것 집계됐다.
14일 통계청·최저임금위원회에 따르면 2013년 실질 GNI는 2,998만원, 10년 후인 2023년 실질 GNI는 3,703만원으로 10년 새 23.5%(1.23배) 상승했다. 같은 기간 최저임금은 2013년 4,860원에서 2023년 9,860원으로 102.9%(2.02배)가 올랐다. 이어 내년도 최저임금은 1.7% 더 오른 1만30원으로 결정됐다.
국민소득 대비 최저임금 수준은 이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해 평균 이상에 속한다. 가장 최근 자료인 '2023년 주요 노동경제지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최저임금을 국가별로 국민소득(GNI)을 감안해 비교할 경우, 2021년 기준 OECD 회원국(38개국)과 비회원국 8개국을 포함한 총 46개 국가 중에서 18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국민소득 대비 최저임금은 각국의 국민소득 수준을 감안해 최저임금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202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국민소득 대비 최저임금을 100으로 봤을 때 OECD 국가 중 우리나라보다 높은 나라는 복지 선진국으로 꼽히는 스위스(138.6), 폴란드(133.7), 영국(129.3) 등이다. 1인당 GNI가 2만~4만달러 미만인 국가별 수준 비교에서는 우리나라가 10개국 중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리투아니아(109.7)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