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용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이 2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LG유플러스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B2B 중장기 성장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윤서연 기자
▲권용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이 2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LG유플러스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B2B 중장기 성장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윤서연 기자

성장 전략 ‘All in AI’ 공개…“AI 기술 총집합”

금융·교육·보안 특화 sLLM 익시젠 개발 예정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LG유플러스가 AI 응용 서비스를 통해 기업간거래(B2B) 사업 확대에 나선다. B2B 중장기 성장 전략 ‘All in AI’를 기점으로 2028년까지 매출 2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2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LG유플러스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ll in AI’ 전략을 소개했다.

‘All in AI’는 ▲인프라 ▲플랫폼(생성형 AI) ▲데이터 등 기술 혁신에 집중해 ‘AI 응용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기존 B2B 사업의 AI 전환 ▲AI 신사업 진출 ▲AI 인프라 매출 확대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B2B AI 사업 매출 확대를 위해 AI 데이터센터(AIDC), 온디바이스 AI 등 ‘AI 신사업’과 더불어 ▲AI 컨택센터(AICC) ▲기업 커뮤니케이션 ▲소상공인(SOHO) ▲모빌리티 등 4대 ‘AI 응용 서비스’를 추진한다. 

인프라 영역에는 AIDC, 온디바이스 AI 등이 포함된다. 지금까지 쌓아온 기술력에 국내외 유수 기업과 협력을 통해 AI 응용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고 인프라 자체 매출도 늘려가는 ‘투 트랙’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데이터센터 사업의 경우 차세대 냉각 시스템, 대규모 서버 수용량 등 강점을 기반으로 소형언어모델(sLLM) 익시젠을 활용해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온디바이스 AI 사업에서는 국내 반도체 설계 회사 ‘딥엑스’와 함께 LG유플러스의 sLLM 익시젠을 접목한 AI 반도체를 연내 선보인다. 온디바이스 AI는 ▲통신장비 ▲AICC ▲SOHO ▲로봇 ▲모빌리티 등 LG유플러스의 자체 사업에 도입돼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LG그룹이 보유한 다양한 디바이스의 활용성을 높이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이날 LG유플러스는 ‘익시젠’을 기반으로 한 B2B 전용 AI 솔루션 '익시 엔터프라이즈(ixi Enterprise)' 계획도 소개했다. 익시젠은 기존 대형언어모델(LLM)에 비해 파라미터 수를 효율화했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 대한 전문성은 유지하면서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AI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LG유플러스는 연내 금융, 교육, 보안 등 다양한 산업에 특화된 sLLM 익시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고객사의 경영 환경과 필요한 AI 서비스에 따라 sLLM의 규모를 선택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 수를 88억개, 250억개 등으로 세분화해 제공할 계획이다.

권용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은 “sLLM 익시젠은 산업별 처리에 있어 한국어 성능이 국내 최고 수준”이라며 “자체 모델을 포함해 다양한 외부 모델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기반에서 유플러스는 생성형 AI 스타트업 포티투마루 등 분야 별 최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과 협업해 통합 개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의 ‘통합 개발 솔루션’은 고객사가 스스로 AI 서비스를 손쉽게 맞춤형으로 업데이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AI 서비스를 자체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익시 솔루션’ ▲고객사가 보유한 데이터 품질의 최적화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 플랫폼 ‘U+ 데이터 레이크’ ▲AI의 개발 학습까지 전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머신러닝작업(MLOps) 플랫폼 ‘바이올렛’ 등 ‘AX 플랫폼’ 3종이 있다. 

▲LG유플러스 B2B 전략.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B2B 전략.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AICC, 기업 커뮤니케이션, SOHO, 모빌리티 등 4대 ‘AI 응용서비스’ 사업에 역량을 집중해 B2B AI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고 2028년 매출 규모 2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권용현 기업부문장은 “매출 규모를 2조원으로 목표하는 만큼 2028년까지 1조3,000억원 정도 투자를 예상하고 있다”며 “AI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할 경우 속도조절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LG AI 연구원에서 만든 초거대 모델을 통신 분야에 특화시켜 만든 sLLM 등 인프라와 데이터 플랫폼 파트에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고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