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 관계자(오른쪽)가 지난 12일(현지시간) CES 2024 전시관에서 AI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관람객에게 설명하고 있다.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 관계자(오른쪽)가 지난 12일(현지시간) CES 2024 전시관에서 AI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관람객에게 설명하고 있다. ⓒSK브로드밴드

데이터분석·장애사전감지·냉방전력에너지 최적화 구현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SK브로드밴드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4에 참가해 그동안 전문적인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에 관한 노하우를 집약한 AI DCIM(Data Center Infrastructure Management)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15일 밝혔다. 

최성균 SK브로드밴드 AIDC CO 담당은 “CES에서의 AI DCIM 운영 노하우 소개를 발판으로 SK브로드밴드는 데이터센터 리딩 컴퍼니로서 AI를 적극 도입해 차별화된 AI 데이터센터 레퍼런스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SK브로드밴드 AI DCIM은 ▲데이터센터 운영의 디지털 전환 경험(Experience to Digital) ▲서비스의 지속적 확장을 위한 표준화 플랫폼 구축(Continuous Innovation) ▲데이터센터 운영에 AI 적용(AI Now) 등을 통해 상면(Rack)·전력설비·공조냉방설비 등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통합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특히 AI를 활용해 서버실 냉방 부하를 예측하거나 냉방설비의 운전 최적화로 전력료를 절감할 수 있고 무정전전원장치(UPS)·배터리·냉방기 등 데이터센터 주요 핵심 설비에 대한 이상 데이터를 미리 파악해 서비스 운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DCIM 플랫폼을 구축해 데이터센터 설비에 대한 감지와 전파 대응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고객사에 사용량 정보 등을 제공하는 운영 리포트 자동화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데이터 기반 시스템으로 전환시켜 운용자들의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SK브로드밴드 관계자는 “AI DCIM은 데이터센터 인프라 운영 과정에 수집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이상 징후 등 장애 사전 감지와 냉방 전력 에너지 최적화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가 기존 단순 관제 방식에서 AI분석으로 진화한 것으로 학습과 추론을 장착한 AI가 데이터센터 운영에 접목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AI 데이터센터는 SK그룹 ICT위원회 멤버사들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구축 중이다. SK브로드밴드는 이번 CES 기간에 ▲SK텔레콤 DC 기술(서버액침냉각·AI기반 전력관리 및 사이버보안기술·양자암호기술), SK엔무브 액침냉각유, SK하이닉스 eSSD (엔터프라이즈 SSD), 사피온 AI반도체 등을 원팀 솔루션으로 함께 소개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