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부산 구간 테스트 완료…전국 백본 구간 적용 예정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SK브로드밴드가 자사의 대규모 전송회선(백본)에 400Gbps급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IP) 통합망을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백본(Backbone)은 네트워크의 중추 역할을 하는 중심망이다.
SK브로드밴드는 이번에 차세대 IP 통합망이 도입되면 기존 100Gbps 단위로 전송했던 데이터 트래픽을 400Gbps 단위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네트워크 고속도로가 4배 넓어져 급증하는 트래픽 증가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이번 통합망은 SK브로드밴드가 시스코와 협력한 ‘RON(Routed Optical Network)’ 기술을 적용했다. 전송망 핵심기술인 파장분할다중방식(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을 네트워크 장비(라우터)에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라우터에 장거리 전송 신호를 보내는 광모듈을 직접 탑재해 별도의 전송 장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게 한 것이다.
SK브로드밴드는 인공지능(AI)·클라우드·메타버스 등 대용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서비스와 AI 데이터센터 전용망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이번 통합망 도입을 결정했다. 이를 위해 SK브로드밴드는 최근 500㎞에 달하는 서울~부산 백본에 테스트를 완료하고 이를 전국 백본 구간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SK브로드밴드는 이번 차세대 IP 통합망 도입으로 네트워크 관리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서비스 품질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되면서 전송 장비 감축에 따른 에너지 절약으로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성과도 기대하고 있다.
최승원 SK브로드밴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담당은 “이번 차세대 IP 통합망 도입을 통해 AI 데이터센터 등의 대용량 트래픽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구현하게 됐다”고 밝혔다.
- SK텔레콤, AI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 본격화…신사업 ‘속도’
- SK브로드밴드 웹진, 美 머큐리 어워즈 ‘은상’ 수상
- SK브로드밴드, 천안·아산시 케이블 단선 복구 완료
- SK브로드밴드,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받아
- SK브로드밴드, CES서 AI 데이터센터 통합관리 솔루션 선보여
- SK브로드밴드, 하이브리드 냉방기 개발 상용화…냉방 전력소비량 14%↓
- SK그룹 9개 계열사, 국내 최대 재생에너지 PPA 체결… 넷제로 달성 '가속도'
- SK브로드밴드, 중앙대 다빈치캠퍼스 ‘디지털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 SK브로드밴드-한국자금중개, 글로벌 금융 통신망 구축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