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관리 편의성·비용절감·성능향상·서비스안정성 확보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국무조정실 산하 형사·법무분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공공부문에 있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례가 적은 가운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과 카카오클라우드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행정·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 사업의 하나로 1년여 가량 기간에 걸쳐 진행해 완료했다.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은 범죄 실태와 원인·대책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연구함으로써 국가 형사정책과 법무정책 수립, 범죄방지에 기여하는 국책연구기관이다. 범죄와 형사사법 통계정보 제공, 국가별 형사법 비교 플랫폼, 전자도서관 등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추진하는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전략에 맞춰 단순한 리프트앤시프트 방식이 아니라 클라우드 유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전면 전환했다.
다수 기업·기관들이 기존 시스템과 유사한 구조 그대로 클라우드 전환 방식을 택하지만 형정원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카카오클라우드’와 함께 고난도 기술·전문성이 요구되는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을 통해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MSA) 설계를 구현했다.
물리적 서버 운영에 투입되던 전력 소비량이 대폭 감소했고 이를 수치로 환산하면 39.42톤의 탄소 배출을 절감하게 돼 매년 2,000여 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원신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형사법무디지털센터 정보통계팀장은 “형정원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략을 성공적으로 구현하며 IT 관리 편의성, 성능 향상, 비용 절감 효과,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며 “카카오클라우드가 직접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인프라·애플리케이션·정보보안 등 각 분야의 전담 엔지니어가 전환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해 기술 최적화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재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사업부문장도 “이번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프로젝트를 통해 카카오클라우드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진정한 의미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완수했다”며 “앞으로도 공공 부문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전환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카카오클라우드, 해외 디지털 정부 공무원들이 배운다
- 카카오톡 먹통 1년…산업부, 데이터센터 분산설치 추진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몽골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지원한다
-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 카카오 4차 공동체 경영회의 참석…홍은택 대표 동석
- 롯데정보통신, 새 클라우드 보안 종합 플랫폼 ‘클라우드 ESP’ 공개
- 검찰, 카카오 판교 사무실 압수수색…SM 시세조종 의혹
- 카카오엔터프라이즈-정보통신진흥협회, 중소·스타트업 클라우드·AI 지원한다
- 유태희 카카오클라우드 개발자, 과기부 장관상 수상…오픈소스 활성화 기여
- 카카오클라우드-토마토시스템, 전국 대학 클라우드 전환 지원 나서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국민 생활용품점 ‘다이소’ AICC ‘센터플로우’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