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DP 7개국·BSEC 8개국 차관·고위공무원 대상 우수사례 소개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도입 시 고려사항·기대효과 질문 쏟아져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지난 2일 오후 ‘제12차 흑해연안경제협력기구(BSEC) 디지털정부 초청 연수에서 민간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해외 공무원 대상 연수를 진행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BSEC 초청 연수에서 글로벌 클라우드와 경쟁하고 있는 카카오클라우드의 기술력과 함께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전환 우수사례를 소개했다. 특히 공공기관의 우수 사례는 공공부문에서 보기 어려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례로 더욱 관심이 높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BSEC 초청 연수는 회원 13개국 중 8개국 불가리아·아제르바이잔·몰도바·그리스·북마케도니아·조지아·튀르키예·세르비아 등에서 차관·고위공무원 13명이 한국 디지털정부를 배우기 위해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해외 공무원 연수는 이번이 두번째로 지난 9월 11일 행정안전부와 유엔개발계획(UNDP)이 진행한 ‘Digital Transformation Practices in Korea’ 프로그램으로 7개국(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조지아·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차관과 고위공무원 24명을 대상으로 방문 연수를 진행했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디지털정부 확산을 위한 해외 국가 연수 프로그램에 민간 클라우드 기업으로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연속해 참여하고 있다. 이는 해외 디지털정부 공무원들 대상 수요조사에서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례에 대한 높은 관심과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카카오 공동체를 대다수 선호해서다.
이날 소개된 카카오클라우드 ▲스마트닉(SmartNIC) ▲TGW(Transit Gateway)가 참여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스마트닉은 글로벌 테크기업 AMD와 공동 개발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고집적화해 사용자가 온전히 중앙처리장치(CPU)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TGW는 서로 다른 클라우드 또는 네트워크, 가상프라이빗클라우드(VPC) 간 표준화된 방법으로 연결해 성능저하 없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 우수사례 발표에서는 참여한 해외 공무원들의 질문이 쏟아지며 높은 집중도를 보였다고 카카오클라우드는 설명했다. 이들은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계획의 전반적인 추진 방향과 이를 위한 준비사항을 경청했다.
특히 실제 카카오클라우드로 전환한 한 공공기관은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MSA) 설계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후 20~30% 비용 절감을 이룬 사례가 주목받았다.
니스트리아 알렉세이 BSEC 사무국장은 “회원국들이 대한민국 공공 클라우드 부문의 빠른 발전 속도와 혁신적인 정부 서비스 개선에 감탄했다”며 “특히 카카오클라우드가 보여준 글로벌 기술력과 뛰어난 우수 사례는 참여자들에게 큰 동기부여가 돼 각국 디지털정부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사업담당 부사장도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선도하고 글로벌과 경쟁하고 있는 카카오클라우드 기술력을 인정받아 이번 연수에 참여하게 돼 감사하다”며 “디지털플랫폼 정부가 지속 발전하고 해외 디지털정부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카카오클라우드가 공공 분야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레퍼런스 확산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 카카오톡 먹통 1년…산업부, 데이터센터 분산설치 추진
- 트레드링스, 카카오 출신 22년 경력 클라우드 전문가 영입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몽골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지원한다
- 카카오클라우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 카카오엔터프라이즈-정보통신진흥협회, 중소·스타트업 클라우드·AI 지원한다
- 유태희 카카오클라우드 개발자, 과기부 장관상 수상…오픈소스 활성화 기여
- 카카오클라우드-토마토시스템, 전국 대학 클라우드 전환 지원 나서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컨택센터 플랫폼 ‘센터플로우’ 명칭 변경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국민 생활용품점 ‘다이소’ AICC ‘센터플로우’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