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럼피스킨병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 상황 점검회의 모습. ⓒ농림축산식품부
▲럼피스킨병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 상황 점검회의 모습. ⓒ농림축산식품부

농림부와 농협 등 소 럼피스킨병 국내 확산 방지 총력 대응

유통업계, 사태 지켜 본 후 정부 방침 따라 대처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국내 축산농가를 중심으로 소 ‘럼피스킨병(LSD: Lumpy Skin Disease)’ 확산세가 심상찮다. 

24일 럼피스킨병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지난 20일 충남 서산 한우농장서 첫 확인 이후 경기 김포, 경기 평택, 충남 당진, 충남 태안, 충북 음성 등지에서 21일 3건, 22일 6건, 23일 7건 발생했고, 24일 경기 수원, 인천 강화, 강원 양구 등지의 10건이 추가되면서 현재(24일 15시 기준)까지 27곳이 확진 접수됐다. 의심 신고도 잇따르는 상황이다.

1920년대 아프리카에서 처음 발생한 럼피스킨병은 모기 등 흡혈 곤충으로 전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소의 폐사율은 10% 이하다.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병 시 고열, 발진, 혹 등의 증상을 수반하며 소의 유산이나 불임, 우유 생산량 감소 등으로 이어져 국내에서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됐다. 무엇보다 럼피스킨병이 발병한 국가의 소는 우육 수출에도 제한이 따른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발 빠르게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중앙사고수습대책본부(이하 중수본)를 꾸리고 지난 22일 긴급 점검회의를 열어 사태를 엄중히 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백신 접종과 살처분, 이동 제한 등 여러 조치를 가동하고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중이다.

먼저 중수본은 미리 비축했던 백신(54만 마리 분량)과 긴급행동지침(SOP)을 기반으로 백신 접종과 3주가량 걸리는 백신 항체 형성을 거쳐 안정화될 때까지 차단 방역 등 전국의 소 사육 농장의 방역관리를 강화했다. 전국적으로 소독 차량 600여 대 등을 동원해 일제히 소독하고, 농장에서 축사 소독‧방제 등 차단방역 상황을 집중관리하고 있다.

중수본은 또, 백신 170만 마리 분량을 11월 초까지 추가 도입해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된 경기‧충남 지역 등의 모든 소(120만여 마리)에 대한 긴급 백신 접종 계획을 내놨다.

또한, 정황근 장관은 2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감사 자리에서는 럼피스킨병 피해 농가에 대한 보상과 관련해 “백신을 접종하고 있고 3주 정도면 항체가 형성되는 데 이후에는 발현된 개체만 처분하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다”면서 “구제역과 (럼피스킨병은) 달라서 농가에 책임을 물을 단계가 아니다. 살처분하면 100% 보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이어 농협 축산경제도 팔을 걷어붙였다. 농협 축산경제는 24일 ‘소 럼피스킨병 방역대책 상황실’을 24시간 가동한다면서 럼피스킨병 조기 근절을 위해 총력 대응 중이라고 전했다. 

한편, 우유업계를 비롯한 유통업계는 관련 사안에 대해 촉각을 세우고 있기는 하지만, 일단은 안정적인 분위기다. 잠복기 2주 기간 동향과 역학 조사 결과, 백신 항체 형성 등 10월 말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게 중론이기 때문.

우유업계 관계자는 “업계는 (낙농가처럼) 우유를 직접 생산하는 것은 아니라서 아직 특별한 점은 없다”면서도 “관련 상황은 계속 더 확인을 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유통업계 관계자도 “(우유나 소고기 등) 판매 상황이나 방침에 대한 특이사항은 없다”면서 “(늘 그렇듯이) 정부의 확실한 지침이 나오는 대로 순차적으로 빠르게 대응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