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성과 공유회 개최…향후 지원 지역 확대 및 혜택 강화 계획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카카오가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 ‘프로젝트 단골’의 2024년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이를 기념해 각 사업 지역에서 성과 공유회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카카오는 카카오임팩트,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추진한 ‘단골시장-우수시장 조성’ 사업 지역 5곳과 ‘단골거리’ 2차 사업 지역 7곳에서 지난 12일까지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행사는 지역 상인을 비롯해 지자체 관계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관계자, 카카오 담당자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와 함께 ‘단골시장-우수시장 조성’ 사업에 참여한 ▲속초 관광수산시장, ▲부산 반송큰시장, ▲포항 큰동해시장, ▲서울 망원시장, ▲서울 인헌시장의 상인 중 우수한 성과를 낸 상인 15명을 시상하고 격려하는 자리를 갖고,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선물을 전달했다.
2022년 시작된 ‘프로젝트 단골’은 전통시장(단골시장), 지역 상권(단골거리), 전국 소상공인(단골 만들기 지원센터)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현재까지 총 212개 시장과 15개 상권, 2,800여 명의 상인에게 디지털 교육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2,800개의 톡채널이 새로 생성되고, 73만 명의 고객이 톡채널 친구로 등록돼 참여 상인들의 온라인 소통 채널을 구축했다.
‘단골시장-우수시장 조성’ 사업은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 우수사례 발굴 및 확산을 목표로 올해 처음 진행됐다. 사업에 참여한 5개 시장은 각각 카카오톡 채널 친구 수 1만 명을 돌파하며 단골 고객과의 소통 기반을 마련했다. 더불어 5개의 우수시장 정보를 카카오맵 실내 지도에 연동하고, 카카오톡 쇼핑하기에서 '단골시장 기획전’을 개최하는 등 온·오프라인을 연계해 판매 채널을 다각화했다.
2024년에 새롭게 시작한 ‘단골거리’ 사업은 15개 지역 상권에서 842개 점포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했다. 이 중 840개 점포가 카카오톡 채널을 개설했으며, 796개 점포가 카카오맵의 매장 관리를 등록했다. 특히, 단골거리 참여 상인 중 50%는 처음으로 온라인 홍보를 시작하며 디지털 전환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참여 상인회 대상 만족도 조사에서는 평균 4.9점(5점 만점)을 기록했으며, 참여자의 95%가 매장 운영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이와 더불어, 카카오는 ‘단골 만들기 지원센터’를 통해 소상공인에게 22년부터 현재까지 총 255억 원 상당의 톡채널 메시지 지원금을 지급했다. 이를 통해 6만6,000여 명의 소상공인이 톡채널 메시지를 통해 고객과 소통했다.
박윤석 카카오 동반성장 성과리더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기반을 마련하고, 성장 가능성을 확인한 한 해였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소상공인이 혜택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 지역을 확대하고, 지역 경제와 상생을 이루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카카오T, 연말 귀가전쟁 대비…노조 갈등 영향 없나
- 카카오 ‘대한민국 한 바퀴 챌린지’ 성료
- 카카오톡 쇼핑하기, ‘톡딜’로 서비스명 변경
- 카카오같이가치, 연말 맞아 다양한 나눔 활동 전개
- 카카오, 카카오테크 캠퍼스 2기 수료식 진행
- 카카오, 4년 연속 지속가능성 평가지수 ‘DJSI 월드 지수’ 편입
- 산업부, 디지털 통상 대응반 회의 개최…트럼프 행정부 대응 모색
- 카카오, ‘2025 KPP’ 선정…전문성 역량 강화 지원
- 카카오, 이모티콘 창작자 대상 저작권 교육 진행
- 은행권, 소상공인에 금융지원…연 최대 7,000억 이자 경감
- 카카오임팩트, ‘테크포임팩트 캠퍼스’ 개강워크샵 개최
- "IT 기술로 사회문제 해결"…카카오임팩트, 사회 혁신 기술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