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2위 자동차 기업으로서 인도 현지 사업 현황 및 미래 계획 설명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경제 강국으로 급부상하는 인도를 방문해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면담했다.
22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정의선 회장은 22일(현지시간) 열리는 현대차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IPO) 기념식에 참석하는 한편 현대차그룹 인도 중장기 전략을 점검하기 위해 인도를 찾았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인도 델리에 있는 총리관저에서 진행된 면담에서 인도 모디 총리와 정의선 회장은 인도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 발전과 인도·현대차그룹 간 다각적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2014년 5월 총리에 취임한 후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펼치며 인도 경제를 세계 5위 규모로 견인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올해 열린 인도 총선을 거쳐 총리로 재선임돼 3기 내각을 이끌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1996년 인도에 진출한 이후 혁신적인 제품과 진정성 있는 사회공헌으로 인도 톱 모빌리티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더 큰 도약을 위해 인도에 특화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현대차그룹은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자동차 시장 가운데 하나인 인도에서 28년 이상 성공적으로 사업을 운영해 왔다”며 “인도에서 두번째로 큰 자동차 제조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 정부의 관심과 인도 국민들의 현대차그룹에 대한 사랑 덕분”이라고 말했다.
또 정 회장은 “현대차는 1996년 인도에 처음 진출한 이후 자동차 산업 발전, 고용 창출, 수출 증대 등 인도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지속적인 투자와 성장을 통해 인도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과 ‘발전된 인도 2047’ 비전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인도 첸나이 현대차 1·2공장, 아난타푸르 기아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푸네 지역에 현대차 3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정 회장은 “푸네 공장은 현대차에 있어서 의미가 큰 거점이 될 것”이라며 “모든 측면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은 인도 정부와 마하라슈트라 정부에 감사드린다”고 강조했다.
인도 마하라슈트라에 위치한 푸네 공장은 현대차의 스마트 제조 시스템을 적용해 내년 하반기 완공된다. 1단계 17만대 생산 규모로 시작해 2028년 총 25만대의 생산 능력을 갖춘 거점으로 확대한다.
정 회장은 “인도에서 전기차 모델을 지속 출시하고 EV 충전망 구축과 부품 현지화 등 인도 EV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인도 정부와 계속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현대차 인도법인 현지 증시 상장…“빠른 자금확보 가능해져”
- 현대차, 인도서 SUV 라인업 확대…현지 '톱티어' 굳힌다
- 현대차 인도법인 IPO 흥행…기관투자자 참여로 청약률 200%↑
- 정의선 회장 4년, 현대차그룹 브랜드 가치 대폭 늘었다
- 현대차 인도법인 IPO 시동, 공모가 3만원대…기업가치 최대 25조
- 유럽 EV 생산거점 찾은 정의선 회장, 성장전략 모색
- 현대차, 3분기 영업이익 3조5809억원…전년동기比 6.5%↓
- 기아·한국전력공사, PBV 활용 미래 전동화·전력 생태계 구축 ‘맞손’
- ‘장외주식 투자했다 허송세월’…LS전선·현대엔지니어링 상장 안갯속
- 현대차·기아, 美 판매 비중 23.3%…154만8,333대 팔아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혁신의 여정, 최고 순간은 아직 오지 않아”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제14대 양궁협회 회장 당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