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극소재는 이차전지 4대 주요 소재(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 중 하나다. 전기자동차, IT제품,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이차전지에 사용되고 있다. ⓒ애경케미칼
▲음극소재는 이차전지 4대 주요 소재(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 중 하나다. 전기자동차, IT제품,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이차전지에 사용되고 있다. ⓒ애경케미칼

차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와 리튬 이온 배터리 음극소재로 사용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애경케미칼이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 개발 환경에 맞춰 하드카본 음극소재 업그레이드에 매진하고 있다. 

16일 애경케미칼에 따르면 최근 나트륨이온배터리의 사업화 진척에 따라 용량과 효율 등 품질 수준이 개선된 하드카본 제품이 개발된 것으로 확인됐다. 

애경케미칼에서 자체 개발한 하드카본 제품은 수명, 급속 충·방전, 저온 특성이 우수해 고출력 이차전지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나트륨 이온 배터리에서는 이온의 크기 문제로 하드카본 음극소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꼽힌다. 현재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음극재 생산에는 실리콘이나 흑연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나트륨 이온 입자가 리튬 이온에 비해 크기 때문에 실리콘과 흑연 음극소재를 사용할 경우 층상 구조 내 나트륨 이온 입자의 이동에 제약이 생기면서 전기적 용량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하드카본 음극소재를 사용하면 하드카본의 구조 특성상 나트륨 이온이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하드카본 음극소재는 에너지저장장치(ESS)에도 필수 소재로 기능하는 만큼 전방산업 수요와 맞물려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애경케미칼은 하드카본 음극소재의 국내 유일 생산업체다. 가격이 비싸 일부 제한적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양산중인 제품은 PAC-2와 MPAC 등 두 종류다. 

애경케미칼 관계자는 “하드카본 음극소재는 세대별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다”며 “나트륨 이온 배터리에 쓰일 음극소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제품 개발과 업그레이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2027년 전세계 나트륨 이온 배터리 시장은 5억달러(6,925억원)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각국의 배터리 제조사들도 급성장하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 시장에 진출해 제품 상용화에 힘쓰고 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