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연도별 영화 티켓 가격과 관객의 실제 구매 가격 차이.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최근 10년간 연도별 영화 티켓 가격과 관객의 실제 구매 가격 차이.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시민단체들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영화 티켓 가격을 인상한 멀티플렉스에 대해 티켓 가격 인상 담합으로 의심된다며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신고했다.

26일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민생경제연구소·민변 민생경제위원회 등 소비자·시민사회단체들은 서울 CGV 용산아이파크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동안 주말 기준 1만2,000원이던 영화 티켓 가격을 1~2개월 사이에 동일하게 1만5,000원으로 인상한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멀티플렉스 영화관 3사를 티켓 가격 담합과 폭리 혐의로 공정위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공동신고단체인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와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신고대리인으로 참여한 민변 민생경제위원회와 이하영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운영위원이 참석했다.

​이들 단체는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는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 459개 중 449개(97.8%)를 차지하고 있는 과점사업자들로 투자·제작·배급·상영 등 영화산업 전과정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영화계의 '절대 갑'이다"라며 "이러한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코로나19 시기 관객이 축소하고 적자가 커지자 2019년 주말 기준 1만2,000원이던 영화 티켓 가격을 2020년과 2021년 2022년에 세 차례에 걸쳐 1,000원씩 동일하게 인상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결과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영화 티켓의 가격 인상률은 25%에서 40%까지 급격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같은 시기 평균 물가상승률(3.2%)의 약 12배에 달할만큼 큰 폭의 인상이었다"며 "당시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3사가 티켓 가격을 인상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적자를 이유로 들었으나 코로나19가 종식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고 1위 사업자인 CGV가 흑자로 전환된 만큼 티켓 가격을 코로나19 이전으로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소비자시민사회단체들의 티켓 가격 인하 요구와 더불어 객단가의 정상화, 통신사·카드사 할인 비용 떠넘기기 등이 해결돼야 영화계가 다시 일어날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다음 주 중에는 영화계와 소비자·시민단체가 연대해 불투명한 객단가 문제와 각종 할인비용 떠넘기기 불공정 행위도 공정위에 신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