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광모 LG 대표(앞줄 오른쪽에서 세번째)가 미국 테네시에 있는 LG전자 생활가전 생산공장을 찾아 스마트팩토리 기술이 적용된 생산라인을 살펴봤다. ⓒLG
▲구광모 LG 대표(앞줄 오른쪽에서 세번째)가 미국 테네시에 있는 LG전자 생활가전 생산공장을 찾아 스마트팩토리 기술이 적용된 생산라인을 살펴봤다. ⓒLG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구광모 LG 대표가 17일(현지시간)부터 나흘 동안 미국 테네시와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북미 현지 사업 전략을 점검하고 미래준비 현황을 살폈다.

LG는 구 대표가 미국 테네시에서는 LG전자 생산법인, LG에너지솔루션·GM 합작법인 얼티엄셀즈(Ultium Cells) 등을 방문하고, 실리콘밸리에서는 LG의 미래준비를 위한 스타트업 투자 허브 LG테크놀로지벤처스(LG Technology Ventures)와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를 찾았다고 23일 밝혔다.

구 대표는 이번 북미 현장 방문 중 직원들을 만나는 총 6번의 자리에서 가장 먼저 "여러분의 노력과 헌신에 감사드린다"며 "자신감과 자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또 "지속성장의 긴 레이스에서 이기기 위해 도전과 도약의 빅스텝을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

테네시에서 구 대표는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등 주요 계열사의 북미 현지 사업 전략을 점검했다.

구 대표는 H&A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 북미지역대표 정규황 부사장 등과 함께 전자 북미 사업 현황을 직접 점검하고 미국 시장의 고객·경쟁·유통 변화, 통상정책 등 사업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 등을 논의했다.

구 대표는 로봇 자동화, 무인 물류 등 스마트팩토리 기술이 적용된 세탁기, 건조기 생산라인도 살펴봤다. LG전자의 글로벌 핵심 생산기지인 미국 테네시 공장은 부품부터 세탁기·건조기·워시타워 등 완제품까지 모두 생산하는 완결형 통합생산체계를 갖추고 있다.

구 대표는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제2공장을 찾아 북미 전기차 시장 전망과 주요 고객사 동향에 관한 설명을 듣고 배터리·양극재 등 전장 부품 사업 포트폴리오 운영 계획과 투자 전략을 점검했다.

실리콘밸리에서 구 대표는 미래사업 분야를 살폈다.

LG는 2018년 실리콘밸리에 기업형 벤처캐피탈(CVC)인 LG테크놀로지벤처스, 2020년에는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를 설립하고 글로벌 스타트업 등과 협업을 강화하며 미래성장 동력 발굴에 힘써왔다.

LG테크놀로지벤처스를 찾은 구 대표는 김동수 CEO(부사장)를 비롯한 경영진과 만나 지금까지의 투자·사업개발 현황을 보고받고 구성원들을 격려했다. AI 등 LG의 미래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스타트업 투자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구 대표는 이곳에서 인월드AI(Inworld AI, AI기반 가상환경 내 캐릭터 제작 솔루션·플랫폼 업체), 에코 헬스(Eko Health, 자체 AI 기반 심부전 등 심장·폐질환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디지털 청진기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사우스 8 테크놀로지스(South 8 Technologies, 극저온에서 작동 가능한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용 액화가스 전해질 개발 업체) 등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AI, 바이오, 클린테크를 비롯해 기존 LG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에서 지금까지 투자한 스타트업 제품과 기술 등을 자세히 살폈다.

구 대표는 실리콘밸리에서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도 방문했다. 

구 대표는 이석우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장(부사장)을 비롯해 구성원들과 만나 아웃사이드-인 방식으로 새로운 변화를 만드는 시도들을 격려하며 신사업 개발 추진 현황 등을 경청하고 헬스케어와 클린테크 분야의 사업화 추진 사례를 살폈다.

구 대표는 "신사업은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솔루션으로 인정받아야 하며, 결국 변함없는 성공의 키는 차별화된 고객가치에 달려있다"며 "이를 통해 성공 사례를 만들어 더 많은 스타트업과 파트너들이 LG를 찾아오고 새로운 사업 모델이 지속 발전돼 나가는 선순환을 만들어 가자"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