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누적 부채 202조원에 대한 이자로 하루 120억원을 내고 있다. 일년이면 4조5,000억원에 이르는 돈이다.
영업손실 또한 만만치 않다. 지난 1분기까지 누적 적자가 43조원대에 이른다. 부채와 적자가 쌓여가면서 한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규모가 커져가는 구조여서다.
구조적인 문제다. 내부 혁신을 한다고는 하지만 근본적인 재정구조가 바뀌지 않고서는 이자로 감당하는 돈을 마련하는데만도 힘든 상황이다. 이자를 못내면 부도다.
전시식 한전 서울본부장은 지난 11일 서울 중구에 있는 서울본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연결기준 누적 부채가 202조원에 육박해 하루 이자만 120억원, 1년에 4조5,000억원이 나간다”며 “계통에도 많은 투자를 해야 하는데 이자를 내고 나면 남는게 없어 다시 돈을 빌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이어 전 본부장은 “2021년부터 국제 에너지가격 상승으로 전력구입비가 대폭 증가했지만 전기요금은 구입비와 송전·배전·판매비용 등의 영업비용과 이자도 반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한전의 재정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국가기간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는 한전이 왜 이렇게 재무구조가 어려운 상황이 됐을까? 단순히 전기요금을 탓할 것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전기요금을 인상한다고 하더라도 전력구입비와 판매비의 불균형이 지속되면 적자는 계속 발생하고 부채도 늘어난다.
현재 한전의 수입구조를 살펴보면 올해 1월 기준 소비자 전력판매단가가 ㎾h당 165.5원, 발전소 구입단가는 138.9원이다. 수치상으로는 ㎾h당 26.6원의 이익이 생기는 구조다. 송전·배전·판매비용에 이자 지출 금액을 합한 금액이 ㎾h당 26.6원 이하여야 남는 장사, 즉 흑자를 이룰 수 있다.
한전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3조2,927억원, 영업이익 1조2,993억원, 영업비용 21조9,93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7.9%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지난해 영업손실 4조5,416억원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영업이익이 지속 상승해야 함에도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1조9,117억원)보다 32%(6,124억원) 줄어든 1조2,993억원을 나타냈다. 이자 비용 또한 지난해 1분기(1조480억원)보다 9.8%(1,037억원) 늘어난 1조1,517억원에 이른다.
다시 말해 한전은 부채에 따른 이자 지급 등을 반영한 전기요금 인상분을 책정하거나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 증가분보다 늘려야 부도를 막을 수 있다. 누적 부채 규모도 줄여야 이자 비용도 줄어들기에 이익 개선과 부채 감소에 주력해야 한다.
한전은 이를 위해 해외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 최근 41조원 규모 인도네시아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에 참여한 한전은 베트남과도 발전소와 송변전·배전망 시스템 구축과 관련해 교류 확대에 나섰다. 이어 한전은 영국 원전산업계와 대형원전사업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아 국내 원전업계와 함께 사업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한전은 재무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해 해외사업으로 눈을 돌렸지만 돈이 들어올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그 이전에 재무상태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게 되면 걷잡을 수 없는 연쇄 파산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공기업이 회생 절차를 거치는 초유의 사태도 생길 수 있다. 한전은 적자여도, 부채가 많아도 절대 망하지 않는다. 하지만 국가기간산업을 선도하는 한전이 회생 절차를 밟는다는건 마치 생활비가 없어 굶고 있는 가정이 앞으로의 미래를 논하는 것과 같다. 결국 국민 세금으로 한전의 부채와 적자를 감당하게 된다.
일단은 생존이다. 한전은 김동철 사장의 지휘 아래 일사분란하게 움직여 재탄생의 각오로 거듭나야 한다. 말로만 해서는 안된다. 정 안되면 한국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금을 받고 기업 보증을 요구하면서 자회사인 발전회사들과의 연대에 나서야 한다.
자체적으로 금융거래 한도가 있겠지만 모기업의 회생에 자회사들도 발벗고 나서야 한다. 왜 뒷짐만 지고 나몰라라 하는가.
사옥을 매각하고 희망퇴직 등 내부 구조조정에 나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자회사를 포함한 한전의 ‘규모의 경제’ 실현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내부 자금수혈을 넘어 한국전력공사 내 전체 회사가 하나가 돼 재무구조 개선에 앞장서야 한다.

- 한전, 영국 원전산업계와 대형원전사업 협력 기반 강화
- 한전, 베트남과 전력분야 신사업·신기술 개발협력 강화
- 한전, 인도네시아와 신기술·신사업 동반성장 가속화
- 한전·가스공사, 1분기 이자 지출만 1조5,600억
- 한전, 삼성전자와 전력설비 운영 기술교류 MOU 체결
- 한전, 1분기 영업익 1조2993억원…흑자전환
- [기자수첩] 공기업 이사회, 전문성·다양성 갖춰야
- 한전, 6월 희망퇴직 시행
- 은행 대출한도 또 깎인다…7월 ‘2단계 스트레스 DSR’ 실행
- 한전, 중소기업과 손잡고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시장’ 진출
- [기자수첩] 우려스러운 양대 조선사의 법적 공방
- [기자수첩] 전기차 배터리 화재…‘충전’과 ‘냉각’ 고려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