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고금리 장기화 속 차주의 금리 변동 리스크와 가계부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자체 장기 고정금리 대출 비중 목표치를 새로 제시하고 관리·감독에 나선다.

금융감독원은 3일 올해부터 은행권에 자체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목표비율 30%를 신설해 행정지도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 2014년부터 주택담보대출의 질적 구조 개선을 위해 매년 '고정금리·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 목표비율'을 제시하고 이행실적을 관리해왔다. 이에 따라 은행권의 주담대 고정금리 비중은 2014년 23.6%에서 지난해 51.8%로, 분할상환 비중도 같은 기간 26.5%에서 59.4%로 개선됐다. 다만 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를 제외하고 5년 고정 후 이후 변동금리로 바뀌는 혼합형을 빼면, 은행 자체 대출의 순수 고정금리 비중은 여전히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새로운 목표비율을 만들어 행정지도에 나서기로 했다. 새 목표비율에는 정책모기지를 제외한 은행 자체 주담대 중 약정만기 5년 이상의 순수고정 또는 금리 변동주기가 5년 이상인 주기형 주담대만 인정된다. 또 전세와 중도금, 이주비 대출은 제외된다. 대신 정책모기지를 포함한 기존의 전체 주담대 고정금리 목표비율은 지난해와 같은 52.5%로 유지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