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롯데건설은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관리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5일 롯데건설에 따르면 하나증권에서 지난 3일 발표한 리포트와 관련해 전날 이 같이 밝혔다.
해당 리포트에서는 롯데건설의 올해 1분기까지 도래하는 미착공PF 규모가 3조2,000억원이며, 서울을 제외한 지역 미착공 PF는 약 2조5,000억원으로 추정했다. 보유현금은 2조3,000억원 수준이며 1년 내 도래하는 차입금은 2조1,000억원으로 1분기 만기 도래하는 PF 우발채무 감당이 어렵다고 분석했다.
롯데건설은 이에 올해 1분기 만기가 도래하는 미착공PF 3조2,000억원 중 2조4,000억원은 이달 내 시중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 펀드 조성 등을 통해 본PF 전환 시점까지 장기 조달구조로 연장하고 8,000억원은 1분기 내 본PF 전환 등으로 PF 우발 채무를 해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착공PF로 리포트에 언급된 3조2,000억원 중 서울·수도권 사업장은 1조6,000억원(50%) 규모이며, 지방 사업장도 1조6조원(50%) 규모라고 밝혔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지방 사업장의 경우에도 해운대 센텀 등 도심지에 위치해 분양성이 우수한 사업장이기 때문에 분양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롯데건설은 현재까지 1조6,000억원의 PF 우발채무를 줄였고, 전년말 보다 차입금 1조1,000억원 및 부채비율 30% 이상을 감소시켰다고 설명했다. 또 롯데건설은 현재 현금성 자산을 2조원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은 1조8,000억원으로 대부분 연장협의가 완료됐고, 일부 진행 중이라고도 설명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올해도 1조6,000억원의 우발채무를 줄여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복현 금감원장 “태영건설 자구안, 남의 뼈 깎는 방안” 비판
- 태영그룹 “인더스트리 매각금 등 태영건설 지원 약속 이행”
- LH, 공공주택 건설현장 PF부실 위기 대응 강화
- 4대 금융당국 수장 “부동산PF 등 금융 리스크 정상화 만전”
- [2023 국감] 대형증권사, 부동산PF '성과급' '8,000억원'
- [2023 국감] LH, 올해 주택 착공실적 목표치 5% 수준…공공분양은 '0'
- 증권사, 부동산PF ‘비상’…부실채권 ‘2조’ 경고등
- ‘세컨드홈’ 1주택 간주…전문가들 "투기자극 우려 시기상조"
- 롯데건설, 현장 중심 안전경영 본격화
- 롯데건설, 신사업 경쟁력 확보 위한 AI 전담조직 출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