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주 69시간 노동의 필요성을 강조한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8명가량이 현재 주 52시간인 근로시간을 줄이거나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설문을 의뢰한 기관은 노동자 대다수가 ‘주 60시간 근로에 찬성한다’는 고용부의 조사 결과가 착시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고용부 설문조사에서 가장 낮은 선택지가 주 60시간이었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19일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9월 4∼11일 전국의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노동시간과 관련해 온라인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근로시간 개편으로 1주일에 가능한 최대 근로시간 상한을 새롭게 정한다면 몇 시간이 적절한가'를 물어보면서 선택지로 ▲'48시간 이하' ▲'52시간' ▲'56시간' ▲'60시간' ▲'64시간' ▲'69시간 이상'을 제시했다.
그 결과 2명 중 1명(48.3%)은 보기 중 가장 짧은 '48시간'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현행 '52시간'이 적절하다는 응답자는 29.6%였다. 10명 중 8명(77.9%)가량이 '근로시간을 현행 유지하거나 줄여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
직장갑질119는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설문조사에서 노동자 대다수가 주 60시간 근로에 찬성한다는 결과가 나온 것은 '착시'라고 주장했다.
고용부 조사에서는 '특정 주 내 최대 근로시간 제한 범위를 1주 60시간 이내로 해야 한다'는 응답이 노동자의 75.3%, 사용자의 74.7%로 가장 높았는데 택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상한이 '주 60시간 이내'였다.
119 측은 "이번 결과에서도 확인됐듯이 직장인은 선택지 중 가장 짧은 시간을 일관되게 고르고 있다"고 고용부를 직격했다. 근로 상한을 줄이거나 유지해야 한다는 답변은 응답자 특성과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높았다.
사무직(47.6%)과 생산직(48.5%), 서비스직(47%) 모두 1주 최대 근로시간 상한을 48시간으로 낮춰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현행 유지 응답을 더하면 모두 77% 이상을 차지했다.
업종별로도 ▲제조(78.6%) ▲교육서비스(78.5%) ▲보건·사회복지서비스(78%) ▲건설(77.2%) ▲숙박 및 음식점(70.6%) 등 전체에서 상한을 줄이거나 유지하자는 비율이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