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 연체액 9.1조…한 달 새 8,000억 급증
“건전성과 서민지원 ‘투트랙’ 필요”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저축은행의 건전성 관리 부담이 커지고 있다. 고위험 부동산 기업대출을 통해 자산을 늘려왔지만 시장 부실화로 자산건전성이 악화되며 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서민금융기관 본연의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권 연체액은 지난 1월 말 기준 9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말(8조3,000억원)보다 9.6% 증가했다.
연체 규모는 2021년 말 2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약 3년 만에 264% 급증했다. 이 같은 흐름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기업대출 중심으로 자산을 늘려오면서 시장 부실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저축은행이 고위험 부동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자산을 늘려왔는데, 부실화가 진행되면서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서민금융기관의 지역금융에서의 역할 재정립’을 보면 저축은행은 지난 2022년까지 가계대출‧기업대출 규모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2023년부터 부동산 PF 대출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대출에서 부실이 확대됐다.
부동산 시장 부실화로 자산건전성은 악화되고 있다. 저축은행 기업대출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2020년 1분기 5.35%에서 2024년 3분기 15.86%으로 급증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금융사의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대출금 중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을 말한다.
◆ 금융당국, PF 대출 관리 ‘고삐’…건전성 제고 강조
저축은행들의 건전성 악화를 두고 금융당국 차원의 검사도 진행된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상반기 예금보험공사와 함께 저축은행의 규모와 관계없이 PF 여신 프로세스 적정성을 점검하기 위한 공동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양 기관은 PF 대출 취급과정에 관련된 내부통제 전반을 점검하고, 자본 계획과 유동성 대응 능력도 점검할 예정이다.
충분한 수준의 충당금을 적립해 부실 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성이 있고, 지역 서민·소상공인에 대한 자금공급 등 업권 본연의 역할을 들여다보겠다는 취지다.
◆ 서민 금융기관 역할 ‘고민’
저축은행의 건전성 악화로 대출 문턱을 높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서민 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론에 대한 목소리도 나온다. 저축은행들이 이른바 ‘대출 옥죄기’에 나설 경우 중·저신용자에 대한 관계형 금융사(relational finance)로서의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역 서민금융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수년간 고위험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자산을 운용하는 등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며 “저축은행들이 지역 중소기업과 서민들의 대상으로 영업력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시장 상황이 좋지 않고 건전성 관리에 중점을 두고 대출을 공격적으로 하지 않고 있다 보니 상대적으로 저신용자까지 공급이 어려운 건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며, 개선 시점에 대해 “(전반적인) 시장 상황이 좋아져야 저축은행들도 평균에 맞춰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