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진 과방위 의원 “1,340만명 바가지 피해”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LTE 요금제가 5G 요금제보다 비싸면서 데이터도 더 적게 제공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수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국민의힘)이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이동통신 3사 주요 LTE·5G 요금제 현황자료' 분석 결과, 월정액 5만원 전후 요금제의 경우 LTE 요금제가 5G 요금제보다 2배 넘게 비싸게 책정돼 있었다.

SK텔레콤의 월 5만원 LTE 요금제는 하루 데이터 4GB를 제공하는데, 5G 요금제는 월 4만9,000원에 데이터 11GB를 제공한다. 1GB 기준으로 LTE 요금제가 약 3배 비싼 셈이다. LG유플러스는 LTE 요금제가 약 2.6배 비쌌으며, KT는 약 2배 비싼 걸로 나왔다.

LTE 요금제는 다른 금액대의 요금제에서도 5G보다 비쌌다. 무제한 데이터 상품의 경우 SK텔레콤은 LTE와 5G가 각각 월 10만원, 8만9,000원이었다. KT는 LTE 요금제가 더 비쌌고, LG유플러스는 LTE와 5G 월정액이 같았다.

만 34세 이상 청년요금제에서도 LTE 요금제가 더 비쌌다. SK텔레콤은 1GB당 약 2.6배(LTE 월 5만원·6GB, 5G 월 4만9,000원·15GB), KT는 약 2.5배(LTE 월 4만9,000원·6GB, 5G 월 4만5,000원·14GB) 수준으로 LTE 요금제 가격이 더 높았다.

최수진 의원은 “지난 6월 기준 이통 3사의 LTE 서비스 가입자는 전체 가입자의 28.4%인 1,340만215명에 달한다. 이 1,300만명은 여전히 속도가 느리지만 비싼 LTE 요금제를 쓰면서 이른바 '바가지' 피해를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