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 건물 옥상 임차…3사 이용 중인 기지국 철탑 안전 시설물 구축에 공동 투자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통신 3사(SKT, KT, LG유플러스)가 지난 4일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SK남산사옥에서 ‘기지국 안전시설 장치 공동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통신 작업 중 사고 빈도가 가장 높은 ‘떨어짐’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원활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건물의 옥상이나 옥탑 공간을 임차해 시설한 무선국 장치 대상으로 안전시설물을 공동 구축해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임차 공간의 옥상과 옥탑에 설치된 중계기는 임차 건물 규모나 각 사별 통신망 설계 기법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통상 건물 5~15층 높이에 시설된 점을 고려할 때 작업 중 추락사고 발생 시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3사가 안전시설물을 공동 구축하기로 한 대상은 옥탑 기준 약 2만4,000곳이다.각 사당 8,000곳을 맡아 수직 사다리 추락 방지 시설인 등받이 울, 안전 발판 및 고리 등을 설치한다.
통신 3사는 2022년부터 국내 통신업의 안전보건 수준을 높이기 위해 안전보건 담당 임원과 부서장이 참여하는 ‘통신 3사 안전보건 협의체’를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안전보건 협의체에서는 각 사의 안전보건 상생 방안과 성과 등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다. 실제 협의체는 안전의식 인식 강화를 위해 고용노동부와 공동캠페인(3,500대 업무용 차량에 안전의식 향상 슬로건을 부착 운행)을 실시하고, 최근에는 ‘2024 통신업종 산업안전보건 상생협력포럼’을 공동 진행한 바 있다.
이번 통신 3사간 기지국 안전시설물 공동 구축 협약은 국내 통신업의 안전보건 수준을 한 단계 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며, 고용노동부에서 2026년까지 사고사망만인율을 OECD 평균 수준으로 감축하기 위해 추진하는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도 통신 3사의 자발적인 안전보건 개선 협약식에 동참하여 통신업 작업 현장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 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최태호 고용노동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중소기업은 산업안전 예산과 인력이 부족해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통신 3사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협약은 중소 협력사 소속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노력이다. 정부 역시 대·중소기업 간 상생 안전이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KT ‘초거대 AI 심리케어 서비스 지원사업’ 참여…AI 정신건강 플랫폼 사업 본격화
- SKT, 중소파트너사에 대금 조기 지급…1,260억원 규모
- KT, 에이블스쿨 6기 입교…AI 청년인재 양성한다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퍼플렉시티와 AI 검색혁명 이룰 것"
- SKT·SKB, 서울-부산 구간 800Gbps 대용량 유선망 도입
- LG유플러스, 디지털고객경험지수 평가서 이동통신 부문 1위
- LG유플러스, '2024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통신 3사, 월평균 통신 요금 6만5027원…알뜰폰 3배
- 추석 열흘 앞 ‘스미싱’ 주의보...보안업계 솔루션 살펴보니
- 전국 인터넷 접속 장애 복구…통신사, 요금감면·보상안 검토
- LG유플러스 마음관리 플랫폼 ‘답다’, 가입자 5만명 돌파
- KT, 온디바이스 AIoT 영상관제 솔루션 전기차 충전소 적용
- SKT, SPC와 AI 기술 활용 서비스 협력…AIX 가속
- SKT, 스팸 대응 전사 TF 출범…고강도 조치 시행
- SKT, 추석 연휴 트래픽 증가 선제 대응 나서…특별 소통대책 발표
- 美 UCLA MBA 학생들, SKT에 AI 전략 배우러 방한
- [2024 국감] 5년째 건물 안서 5G 먹통 이유 있었네…이통3사 실내 기지국 11%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