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9일 한국중부발전과 5,800억원 규모 함안복합발전소 수주계약 맺어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가스터빈 부문에서 1년만에 수주 1조원을 돌파했다. 이달에만 K-가스터빈 제작부터 서비스, 발전소 건설을 모두 수주한 데 힘입어 초대형 가스터빈 관련 주기기 제작과 서비스의 누적 수주금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2일 한국중부발전과 5,800억원 규모 함안복합발전소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함안복합발전소의 파워블록을 설계부터 주기기 제작∙공급, 시공까지 설계·조달·시공(EPC)으로 일괄 수행해 2027년까지 준공할 예정이다. 파워블록은 발전소에서 터빈, 발전기, 냉각 시스템 등 전력 생산에 필요한 핵심 장비들이 모여 있는 구역을 의미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한 380㎿급 초대형 가스터빈을 비롯해 스팀터빈, 보조 기기 등을 함께 공급한다.
또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1일 한국남동발전과 분당복합발전소 주기기 공급 계약, 10일 한국남부발전과 안동복합발전소 2호기 장기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에 이어 이번 수주로 이달에만 K-가스터빈의 제작∙서비스∙건설을 모두 수주하는 ‘트리플 크라운(Triple Crown)’을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6월 한국중부발전과 보령신복합 주기기 공급 계약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약 1년간 초대형 발전용 가스터빈을 포함한 주기기 제작과 서비스 누적 수주금액이 1조원을 돌파했다.
이현호 두산에너빌리티 플랜트 EPC BG장은 “지난해 380㎿급 K-가스터빈을 도입한 한국중부발전이 다시 한번 K-가스터빈을 선택해 관련 건설공사까지 수행하게 된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며 “이번 계약으로 발전소 건설 역량과 주기기 제작 역량을 동시에 인정받은 만큼 앞으로 글로벌 발전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시장정보업체 ‘HIS Markit’에 따르면 글로벌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용량이 2024년 2,043GW에서 2032년 2,434GW로 증가할 전망이다. 아울러 국내에서도 석탄화력 대체 및 복합 리파워링(Repowering) 15.4GW, 반도체 클러스터 추진 3GW 등 LNG 발전 추가 증설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핵심 주기기인 가스터빈 수요와 가스터빈에 대한 장기유지보수 서비스 사업 규모도 커질 전망이다.
장기유지보수 서비스사업은 가스터빈 공급 이후 10~14년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매출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사업성이 높게 평가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38년까지 발전용 가스터빈 누적 수주 100기 이상을 목표로 가스터빈 서비스 부문에서만 2038년 매출 1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 두산에너빌리티·제주도, 풍력·수소 청정에너지 육성에 맞손
- 두산에너빌리티, 남부발전에 수주…가스터빈 장기보수 서비스 계약
- 두산에너빌리티, ‘K-원전 기술 서포터즈’ 개최
- 필리핀 전력기업 ‘메랄코’ 회장,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본사 방문
- 두산 삼총사 ‘로보틱스·에너빌리티·퓨얼셀’ 미래 신시장 개척 가속화
- 두산에너빌리티, ‘태국 발전소’ 탄소 저감 기술 도입 추진
- 두산에너빌리티, 칠레서 발전소 연료전환사업 수주
- 루마니아 대통령,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본사 방문…SMR 역량 확인
- 두산에너빌리티, 카자흐스탄 발전소 현대화사업 추진
- 두산에너빌리티, 항공용 엔진 개발 본격화
- 두산에너빌리티, 2분기 영업이익 3098억원…전년比 37.3%↓
- 두산 계열사 3곳, 분할·합병 주주 서한 공개...지지 호소
- 두산, 연성동박적층판 공장 준공…“AI 고객 수요 대응”
- 두산에너빌리티, 필리핀 기업들과 발전 사업 협력 강화
- 두산에너빌리티, 750㎿ 규모 해상풍력사업 협력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