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도 평가 완료, 연말까지 고속도로·지방도 평가해 지도 구축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전국 각지에서 자율차가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가 올해 주요 도로망의 자율주행 난이도를 평가한 지도를 구축한다고 3일 밝혔다.

국토부는 올해 6월 기준 자율주행 기술 실증을 위해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한 차량이 440대를 넘어섰고 내년 3월부터 성능인증제를 통해 레벨4 자율차의 기업 간 거래가 가능해지는 등 자율차 보급이 확대될 예정임에 따라 전국 주요 도로망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지도를 구축해 자율주행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지난해 국토부는 전국 국도구간 평가를 완료하고 올해 지방도에 대한 평가를 진행 중이다. 한국도로공사도 이달 5일 고속도로(민자구간 제외) 평가용역을 공고한다. 올해 안에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 주요 도로망을 아우르는 자율주행 지도가 구축될 예정이다.

자율주행 지도는 도로의 기하구조와 교통흐름, 터널·교량의 유무, 교차로 유형 등 자율주행 기술 구현과 관련 주요 요소를 기준으로 유사한 도로 구간들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대표구간에 모의주행과 실제주행을 거쳐 자율주행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는 정도를 평가해 나타낸다.

특히 모의 주행 단계에선 일반적인 주행상황뿐 아니라 야간과 안개, 젖은 노면, 전방 사고 발생 등 특수상황을 포함한 다양한 주행 시나리오를 설정해 해당 구간에서 자율주행 기능이 해제되거나 신호 미인지, 비정상 주행 등 자율주행 안전성이 저하되는지 여부도 확인한다.

국토부는 이번에 구축되는 자율주행 지도가 앞으로 자율주행 정책을 획기적으로 전환하는 기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정책이 자율차 운행구역을 시범운행지구 등으로 제한적 허용하는 포지티브 방식이었다면 도로별 자율주행 난이도를 고려해 자율차 운행이 허용되는 구간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도 검토해갈 예정이다.

또한 자율협력 주행을 위한 인프라(C-ITS) 구축에도 자율주행 지도를 활용할 계획이다. C-ITS는 자율차가 다른 차 또는 인프라와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으며 주행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제고하는 기술을 말한다.

자율주행 난이도가 높은 구간은 C-ITS 인프라를 활용한 자율협력 주행 필요성이 높은 만큼 직접 통신방식으로 관련 인프라를 우선 구축하고 자율주행 난이도가 낮은 구간은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통신방식을 적용해 인프라 구축 효율화를 도모한다.

박진호 국토부 자율주행정책과장은 “최근 최초의 무인 자율차가 임시 운행 허가를 발급 받는 등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도로여건에 따라 자율주행 기술이 실현되는 난이도가 상이해 자율차 운행구역을 세밀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자율주행 기술 구현과 관련된 도로 여건에 대해 객관적 자료가 마련될 예정인만큼 이를 활용해 자율차가 안전성을 검증해 가며 확산되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앞당길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
ⓒ국토부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