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 시 'DR센터' 역할...수도권 트래픽 분산 처리도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KT가 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AICT) 시대에 요구되는 통신망 안정성 강화에 앞장선다.
KT(대표 김영섭)는 비수도권 지역인 부산에 인터넷 3센터를 구축, 지난주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KT가 기존 인터넷 1,2센터외에 추가로 3센터를 구축한 이유는 재난, 정전 등으로 인해 수도권에 위치한 메인 통신센터가 정상적으로 동작이 불가능할 경우 주요한 인터넷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해서다. 이 시설은 전국에 있는 주요 인터넷 장비 그리고 해외 통신망과 직접 연결됐다.
인터넷 3센터는 비상 상황 시에는 원격재해 복구(DR)센터로 동작하고 평시에는 수도권에 집중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KT는 수도권 1, 2센터가 동시에 가동되지 않는 상황을 연출해 국내외 주요 포털 서비스와 금융, 언론, 동영상 서비스가 3센터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검증했다. 아울러 인터넷 3센터를 통해 네트워크 구조 전체가 개선되면서 넷플릭스 등 글로벌 콘텐츠의 통신 지연도 기존 대비 평균 18% 단축되는 효과도 확인했다.
KT는 이번 인터넷 3센터 개소로 주요 인터넷 시설을 3중화하는 등 통신망의 안정성을 대폭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고객들에게 안정적이고 더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국내외 인터넷 사업자와의 네트워크 분야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KT는 AI, ICT 기술 범위의 확장으로 통신망의 안정성이 통신사를 비롯해 플랫폼·콘텐츠 회사에게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인 만큼 인터넷 3센터 연결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 내다봤다. 네이버 클라우드 등 주요 콘텐츠 사업자는 인터넷 3센터 개통과 동시에 이를 활용해 서비스 경로를 3곳으로 나눠 자사의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분산하고 있다.
권혜진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상무)은 “국민들의 모든 생활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면서 통신망의 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 사항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라며 “KT 고객에게 고품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망 인프라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