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성형 AI를 활용한 원자력발전소 설계 품질 향상”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분야에서 인공지능(AI)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올 상반기 내 건설 원전 형상관리 분야에 AI 기술 적용을 위한 본사업을 착수하고, 연내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형상관리는 발전소의 구조물, 계통 및 기기들의 특성을 식별해 이를 문서화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다.
한수원은 감사실과 건설기술처, 중앙연구원이 공동으로 형상관리 분야 AI기술 적용을 위해 맞춤형 언어모델(sLLM)을 구축하고, 주요 설계 관련 문서를 학습해 AI가 문서 내 주요항목에 대한 분석, 비교, 검토 등을 수행하고 답변할 수 있는 시험용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발판으로 향후 건설 원전에 AI를 적용해 원전의 품질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최일경 한수원 건설사업본부장은 “향후 신한울 3,4호기 건설 시 AI 기술을 활용해 더 안전한 건설을 추진할 것”이라며, “향후 원전 수출 시에도 경쟁력 있는 핵심요소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익규 상임감사위원은 “AI 기술을 활용해 발전소 운영과 안전성을 높이고, 직원들의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켜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한수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 가스公, 한수원·예보공과 감사 역량 강화 업무협약 체결
- 한수원, 고리1호기 해체 제염작업에 방사선량 측정 로봇 최초 활용
- 한수원, 루마니아 원전 인프라 설계 용역 계약 체결
- 한수원, 체코 신규원전 사업 최종 입찰서 제출
- 한수원, 코트라와 체코 수소협력 포럼 및 상담회 개최
- 한수원, UAE 원전 운영사와 기술교류 워크숍
- 한수원KNP, 원전 기자재 수출 2,000만불 돌파
- 연초 주춤했던 대형건설사 정비사업 수주 활기
- 한수원, 양수 건설‧운영 전문교육 및 기술교류회 시행
- 한국수력원자력, ‘체코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 기술 교류 협력
- 한국수력원자력, 체코 프라하·트레비치 교육봉사·문화공연 소통
- 한국수력원자력, 연료전지 분야 탄소중립 첫걸음 내딛어
- 한국수력원자력-대구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협력 ‘맞손’
- 한국수력원자력, 원전 엔지니어링 협의체 발족
키워드
#한수원
윤서연 기자
syyunrp@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