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CJ대한통운은 액화수소 운송사업을 본격화한다고 9일 밝혔다. 액화수소 운송사업은 CJ대한통운이 국내에서는 최초로 시작하며 현재 운송 가능한 유일한 물류업체로, 수소물류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지난 8일 SK E&S의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에 따라 액화수소 운송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는 하루 90톤, 연 3만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시설이다. CJ대한통운은 여기서 생산된 액화수소의 전국 운송을 맡았다.
CJ대한통운은 SK E&S의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에서 생산된 액화수소를 전용 특수 탱크트레일러에 실어 전국 각지 충전소로 운송한다. 현재 충전소는 인천 가좌 등 총 6개소로 버스 등 수소차량들이 이곳에서 충전해 운행하게 된다. 액화수소 충전소는 향후 전국 40개소까지 확대될 예정으로 CJ대한통운은 이에 발맞춰 탱크트레일러 차량을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다.
액화수소는 상온에서 기체 형태로 존재하는 수소를 영하 253도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해 액체 형태로 만든 수소다. 기체수소 대비 부피가 800분의 1인데다, 1회 운송량은 약 10배 수준으로 대용량 저장·운송에 유리하고 저압에서 운송이 가능해 안전성이 높으며 빠른 충전 속도와 짧은 충전 대기 시간 등의 강점이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CJ대한통운은 지난 2021년부터 국내 물류분야의 새로운 영역인 액화수소 운송의 완벽한 수행을 위해 SK E&S와 긴밀히 협의해왔다. 지난해 액화수소 탱크트레일러 3대를 확보해 올해 초부터 전국 충전소의 테스트를 위한 초도물량을 운송하면서 운영역량을 축적해왔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수소물류에 대한 체계와 기준 등을 확립하고 운영노하우를 축적해 새로운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수소 생태계의 연착륙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SK에코플랜트, 재활용 디지털 서비스 브랜드 ‘웨이블’ 론칭
- 기아, 배송 로봇에 PBV 기술 연계…물류 솔루션 고도화
- CJ대한통운, 편의점 택배 운임 인상 연기
- CJ대한통운, 식량위기국 원조사업 국내운송·선적 맡아
- CJ대한통운, 패키징 신기술로 물류 혁신 잰걸음
- CJ대한통운, 1분기 영업익 1,094억원…전년비 10.4%↑
- CJ대한통운, 한국사업부문대표에 윤진 FT본부장
- CJ대한통운 패션·뷰티 풀필먼트, 전년비 98% 성장
- CJ대한통운 ‘더 운반’, 현대제철과 미들마일 물류 맞손
- CJ대한통운, 인천 GDC에 사우디 통합물류특구 운영사 대표단 방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