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명동거리 식당가에 관광객들이 지나가고 있다.
서울 중구 명동거리 식당가에 관광객들이 지나가고 있다.

외식 39개 중 절반 상승률 평균 이상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외식 물가 상승률이 지난달에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지난 2021년 6월부터 35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4월 외식 물가 상승률은 3.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9%)보다 0.1%포인트 높다.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절반 정도인 19개가 평균을 상회했다.

떡볶이가 5.9%로 가장 높았으며 비빔밥(5.3%), 김밥(5.3%), 햄버거(5.0%), 도시락(4.7%), 칼국수(4.2%), 냉면(4.2%) 등 순이다. 39개 품목 중 물가가 내린 품목은 없다.

외식 물가 상승률과 전체 평균 간의 격차는 0.1%포인트까지 좁혀져 2021년 6월 역전 현상이 발생한 이후 가장 작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4.3%, 2월 3.8%, 3월 3.4%, 4월 3.0% 등으로 둔화세가 지속됐기 때문이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이달에도 둔화세를 보이면 3년 만에 전체 평균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26개월째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돌다가 2월에 역전돼 지난달까지 석 달째 전체 평균을 하회하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6%로 전체 평균보다 1.3%포인트나 낮았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 35.6%인 26개는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설탕이 18.6%로 가장 높고 이어 소금(17.4%), 양주(10.6%), 건강기능식품(8.7%), 발효유(6.7%), 우유(6.2%) 등 순이다. 소주(-1.3%)와 밀가루(-2.2%), 라면(-5.1%), 김치(5.5%) 등 26개 품목은 물가가 내렸다.

다만 최근 식품·외식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며 외식 물가 상승률이 평균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은 예상보다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이 지난달 바른김밥 등의 가격을 인상했고 치킨 프랜차이즈인 굽네는 9개 메뉴 가격을 1,900원씩 올렸다. 맥도날드도 지난 2일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인상, 피자헛도 같은 날부터 갈릭버터쉬림프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파파이스도 같은날 치킨·샌드위치·디저트·음료 등의 가격을 기존 가격에서 100원~800원가량 올리면서 평균 4% 인상했다. 롯데웰푸드는 다음 달 가나초콜릿과 빼빼로 등 17종 제품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편의점 생필품과 가공품 가격도 오른다. 세븐일레븐·CU·이마트24·GS25 등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1일부터 일부 생필품과 가공식품 가격이 인상될 예정이다.

키워드
#물가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