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해상풍력단지 전경. ⓒ한국남동발전
▲탐라해상풍력단지 전경. ⓒ한국남동발전

대규모 발전단지 건설 지연 우려…업계 “정부 지원방안 마련해야”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최근 철강·조선업계에서 해상풍력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건설하기 위해 필요한 설치항만이 없어 국가 목표치 달성은 어려울 전망이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보다 입지 제약에서 자유롭고 대규모 단지 건설에 유리해 전력량을 단기간에 늘릴 수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추진 중에 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해상풍력 누적 설치용량이 2030년 228GW, 2050년 1,000GW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철강업계는 해상풍력 발전단지에 강관 등 철강 소재를 공급하고 하부 구조물 사업에 참여하며 신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업계에서도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 본격 진출하면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을 비롯해 해상풍력 부유체로 사업 부문을 넓혀가는 중이다.

우리나라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0년 전체 발전량 중 풍력 비중을 6.3%, 해상풍력 누적 설치용량을 14.3GW로 설정했다. 다만 현재 우리나라에 설치항만이 없고 건설이 진행 중인 설치항만을 고려한다고 해도 해당 목표치를 달성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4일 업계의 중론이다.

사단법인 넥스트가 지난 3일 발간한 ‘해상풍력 적기 보급을 위한 항만 계획 필요성’에 따르면 현재 정부가 계획 중인 설치항만 건설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될 경우 2030년 말 설치할 수 있는 해상풍력은 7.8GW 규모다. 이는 정부 목표치인 14.3GW의 절반 수준이다. 

해상풍력 단지 건설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제조항만, 설치항만, 유지관리 항만이 필요하다. 특히 설치항만은 제조항만에서 만들어진 해상풍력 부품이 해상풍력전용설치선에 실려 발전단지로 운송되기 전까지 보관되는 곳이다. 해상풍력전용설치선의 하루 사용비용은 약 2억~3억4,000만원으로 바지선보다 약 5배 높다. 이에 사업자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발전단지에서 최대한 가까운 위치의 설치항만으로 제조항만에서 바지선을 이용해 부품을 운송하고 설치항만에서 보관 및 가조립 후 설치선을 활용해 운송하고 있다. 

설치항만은 제조항만, 유지관리 항만에 비해 요구조건이 까다롭지만 건설비용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2028년까지 해상풍력 설치항만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항만은 목포신항, 해남 화원산단, 울산신항으로 총 3개뿐이다. 이밖에도 인천신항, 군산항 등에서 개발이 언급됐으나 넥스트는 본격적인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이 2026년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2030년까지 목표치를 달성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풍력업계 관계자는 “옆 나라 일본의 경우 항만법을 개정하며 해상풍력 거점 항만을 정해 지원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인허가와 계통 등 다른 사안에 밀려 깊게 논의되지 않고 있다”며 “정작 인허가 문제가 해결돼도 설치항만이 부족하면 해상풍력발전 건설이 지연될 수 있는 만큼 항만 운용에 대한 계획과 전용설치선의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