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 화장실 비상안내서비스 3.4%뿐... 엘리베이터 등 의사소통 난맥상

▲ 교통시설과 교육시설 등 공공기관의 장애인 접근성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하철과 철도 역사의 엘리베이터와 화장실 등 밀폐공간에서 청각장애인이 위험에 빠질 경우 연락 수단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pixabay)
▲ 교통시설과 교육시설 등 공공기관의 장애인 접근성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하철과 철도 역사의 엘리베이터와 화장실 등 밀폐공간에서 청각장애인이 위험에 빠질 경우 연락 수단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pixabay)

[SR타임스 최헌규] 엘리베이터 등 밀폐된 공간에 갇히게 되면 비장애인들도 당혹감에 휩싸이기 마련이다. 지하철·철도역사 등의 엘리베이터와 화장실 등 밀폐공간에서 청각장애인들이 위험에 처할 경우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수단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장애인 편의 시설과 비교해서도 가장 열악한 수준이었다.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가 지난 5월부터 석 달간 전국 지하철·철도역사 153개소를 모니터링 한 결과 밀폐 된 공간에서 청각장애인들이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각장애인이 엘리베이터와 화장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비상상황 발생 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연락처(문자)가 제공되는 곳은 지하철이 15.5%(엘리베이터), 3.4%(화장실)였으며, 철도는 26.7%(엘리베이터), 4.6%(화장실)에 불과했다.

인권위는 지난 4월 158명의 장애인차별예방 현장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5월부터 7월까지 서울, 경기, 부산, 광주, 대구, 대전 등 전국 6개 권역에서 장애인의 접근성과 차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대상은 △지하철·철도역사 153개소 △학교 204개소 △직업교육훈련기관 20개소 등 총 377개소 교통시설과 교육기관이었다.

모니터링단에는 장애인 당사자(지체‧뇌병변‧시각‧청각장애 등)도 60% 이상 참여해 장애인 눈높이에서 편의제공의 적절성을 직접 점검할 수 있도록 했다.

조사결과, 시·청각 장애인이 비상상황 시 초기에 대응할 수 있는 경보시스템(비상벨·경광등) 설치비율은 80%상으로 높아졌지만, 철도역사 내 연속적으로 설치된 비율은 50%를 조금 넘는 수준(54.5%‧52.3%)으로 나타났다.

또 역사 내 엘리베이터, 승강장 등 안내표지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눈높이에 맞춰 찾기 쉽도록 설치된 지하철은 53.9%(엘리베이터 근처), 55.4%(통로)였으며, 철도는 26.7%(엘리베이터 근처), 43.5%(통로)였다. 지하철 환승역의 경우 휠체어 사용 장애인이 쉽게 환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표지가 눈높이에 맞춰 설치된 역은 55.6%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이 재학 중인 특수학교, 일반학교 204개소를 모니터링한 결과, 교육 보조인력이 제공되는 학교의 경우 보조인력 1인당 장애학생 수는 평균 6.5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보조인력 1인당 남성 장애학생 수는 평균 10.2명, 여성은 평균 4명으로, 남성 보조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내부에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의 경우 남·여 구분한 곳은 특수학교 93.1%, 일반학교 66.9%로, 일반학교의 시설 접근성이 특수학교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특화과정을 운영하는 직업교육훈련기관을 모니터링한 결과, 시·청각 장애인 등록과정에서 의사소통을 위해 편의를 제공하는 기관은 30%였다.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이 남·여 구분 설치돼 있는 기관은 55%였으며, 휠체어 사용 장애인이 접근할 수 없는 강의실이 있는 기관도 10%로 나타났다.

인권위는 29일 서울을 시작으로 이 같은 현장 모니터링 결과 보고회를 부산, 광주, 대전 등 지역별로 연이어 개최한다.

인권위 관계자는 모니터링 결과에 대해 “모니터링 대상기관 377개소 중 93.3%가 자발적으로 개선하겠다고 회신해왔다”며. “이번 보고회를 통해 올해 활동한 모니터링단 및 관계자들과 사업 결과 등을 평가,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권위는 지난 2009년부터 해마다 장애인 차별예방 모니터링을 실시해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409개의 공공기관, 대형판매시설을 점검해 394개 기관의 개선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