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성장펀드, 금융권 총동원 체제로…150조 투자 집행 전 ‘생산적 금융’ 대전환 주문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국민성장펀드의 자금 공급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금융권이 전략적 협업에 나선다. 정부는 금융권의 보수적 영업 관행을 전면 수정하고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17일 한국산업은행 별관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과 금융기관 업무협약식에 참석해 “금융권이 산업 이해 기반의 전략적 재원 배분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 출범에 맞춰 산업은행과 5대 금융지주가 전문 인력 파견, 정보공유, 프로젝트별 공동 지원 등에 협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위원장은 “금융권이 여전히 이자 장사에 치중한다는 시장의 평가가 냉정하다”며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정부·금융권·산업계·지역이 역량을 모두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국민성장펀드가 기존 산업금융이 가보지 않은 길을 개척하는 만큼 “영업 관행과 마인드를 획기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며 정책금융과 민간금융의 ‘전략적 결합’을 주문했다.
이어 그는 “정부도 출자부담 개선, 투자 실패 면책 등 제도 개선으로 적극적 투자 결정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은 “국민성장펀드는 150조원 규모의 민관 합동 프로젝트로, 금융권이 하나의 실행축을 구성해 협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정책금융과 시장 전문성이 결합된 생산적 금융 생태계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협약식 후 진행된 사무국 현판식도 국민성장펀드 집행을 위한 기반 구축의 의미를 더했다. 사무국은 프로젝트 접수·예비검토·공동지원 조율·자금 집행·사후관리 등 운영 실무를 담당하며, 산은 출신 전문가와 민간 금융·산업계 전문 인력을 함께 채용해 추진력을 강화한다.
산업은행은 사무국과 혁신성장금융부문을 묶어 ‘국가산업성장지원그룹’을 신설하고 투자 중심 조직으로 재편해 전략적 지원 기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위는 사무국 신설과 함께 사업부처·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투자 수요를 수시로 발굴하고 ‘기금운용심의회’ 절차를 병행해,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안 공포 이후인 12월 10일 국민성장펀드 공식 출범 시점에 맞춰 신속히 투자 집행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