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동북아 표기 ‘한중일’로 통일…외교 기조 원상 복구

2025-11-16     김남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미 팩트시트 타결 관련 발표 후 질문에 답하고 있다.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이재명 정부가 동북아 3국을 지칭하는 공식 표기를 ‘한중일’로 통일하기로 했다. 윤석열 정부 시기 ‘한중일’과 ‘한일중’이 혼용되면서 불거졌던 외교적 해석 논란을 정리하겠다는 취지다.

대통령실은 16일 “앞으로는 동북아 3국 표기를 ‘한중일’로 일원화해 사용한다”고 밝혔다. 전임 정부에서 대일 기조가 강화되며 ‘한일중’이라는 표현이 함께 쓰였고, 이를 두고 ‘외교적 거리감’ 논쟁이 반복된 바 있다. 대통령실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돼 온 표기로 되돌림으로써 소모적 논란을 끝내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문재인·박근혜 정부 등 이전까지는 대체로 ‘한중일’ 표현이 관례였다. 다만 동북아 3국 정상회의의 경우 개최 순번(일·중·한)에 따라 ‘한일중 정상회의’라는 용어가 쓰였을 뿐, 일반적 표기는 ‘한중일’이 주류였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이번 표기 복원 조치는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 외교 기조와도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지난 1일 경주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가진 뒤 “한중관계를 전면 회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실용·상생의 길로 나아가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한미 간 관세·안보 협상 발표 과정에서도 “중국과의 대화 기조는 흔들림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관계자는 “외교의 핵심은 균형인데, 전임 정부는 이념 외교에 치우쳐 일본 중심으로 과도하게 경사됐다”며 “이를 정상화하는 결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치로 외교 문서, 정부 발표, 보도자료 등에서 모두 ‘한중일’ 표기가 공식 표준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