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가계대출 4.8조 증가…신용·2금융↑, 가계부채 관리 비상

2025-11-13     김남규 기자
ⓒ금융위원회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10월 한 달 동안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4조8,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6조5,000억원)보다는 증가폭이 줄었지만, 전월(1조1,000억원)과 비교하면 다시 크게 불어난 수준이다. 9월까지 감소하던 신용대출이 다시 플러스로 전환되고, 제2금융권 대출이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연말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금융위원회는 13일 ‘2025년 10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과 함께 관계 부처·금융권이 참여하는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가계부채 흐름과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10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8,000억원 증가해 9월(1조1,000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2,000억원 늘어 전월(3조5,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소폭 둔화했다. 은행권은 2조5,000억원에서 2조1,000억원으로 줄었고, 제2금융권은 1조1,000억원 증가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기타대출은 1조6,000억원 증가해 9월(−2조4,000억원) 대비 감소세에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특히 신용대출이 9월 −1조6,000억원에서 10월 9,000억원 증가로 돌아선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5,000억원 증가해 9월(1조9,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은행 자체 주담대(1조4,000억원→1조1,000억원)와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성 주담대(약 1조원)는 증가폭이 다소 줄었지만, 기타대출이 −5,000억원에서 +1조4,000억원으로 크게 반등한 영향이 컸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3,000억원 증가해 9월(−8,000억원) 대비 흐름이 완전히 달라졌다. 보험(−3,000억원→+1,000억원), 여신전문금융회사(−1조1,000억원→+2,000억원)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됐고, 상호금융권은 1조원에서 1조1,000억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저축은행 대출 감소폭은 −5,0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축소됐다.

이날 회의에서 관계기관과 금융권은 10월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늘었지만, 중도금 대출은 애초 약정된 집단대출 집행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10월 15일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이전 서울 등지에서 주택 매매거래가 증가한 만큼, 이 영향이 시차를 두고 11~12월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신진창 금융위 사무처장은 “전체적으로 보면 가계대출은 연간 총량 목표 범위 안에서 관리되고 있다”며 “예년에도 11월은 월평균(6조원)보다 많은 약 8조원의 가계대출이 늘어난 시기였던 만큼, 연말까지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업자대출의 ‘편법 가계대출화’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신 사무처장은 “올해 7~10월 은행권 사업자대출 점검에서 용도 외 유용 사례가 45건 이상 적발됐다”며 “제2금융권, 특히 새마을금고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없는지 철저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제2금융권 현장 점검을 이달 안으로 마무리하고, 용도 외 유용이 확인된 차주에 대해 연내 대출 회수 등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7월까지 새마을금고 사업자대출 2,897건을 점검해 일부 용도 외 사용 사례를 적발했으며, 8월 이후 취급분에 대해서도 규제 우회 여부를 계속 점검할 방침이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 목표를 유지하는 동시에 부동산 관련 불법·편법 대출 점검을 강화해 가계부채와 주택시장의 동반 불안 가능성을 낮추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