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만석 사퇴에 여권 “전형적 꼬리 자르기…책임질 사람, 이재명·정성호·이진수”

2025-11-13     김남규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로 검찰 내부에서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12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파문 속에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사퇴하자 정치권 공방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국민의힘은 “전형적인 꼬리 자르기”라며 책임을 이재명 대통령과 정성호 법무부 장관, 이진수 차관으로 향하게 했다. 노 대행은 사의를 밝히면서도 “퇴임식에서 자세히 말하겠다”고 말해 외압 의혹은 더 짙어졌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책임질 사람은 노만석이 아니라 이재명·정성호·이진수”라며 “꼬리 자르기는 더 큰 국민 분노를 부를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대장동 항소 포기와 3개 특검의 무도한 칼춤을 보며 히틀러의 망령이 어른거린다”며 “공무원 휴대전화 검열까지 예고된 상황에서 공직사회는 ‘5호 담당제’와 인민재판이 시작됐다”고 정부를 지격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도 “항소 포기에는 정 장관의 외압이 분명히 연루돼 있다”며 “대통령실 개입 흔적을 노 대행이 직접 언급했다”고 주장했다. 성남시장 신상진은 최고위 회의에 참석해 “항소를 포기한 자들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할 것”이라며 “4054억원 배당 무효 소송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노 대행의 사퇴 배경을 둘러싼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그는 전날 퇴근길 기자들과 만나 “나름대로 검찰을 지키기 위한 선택이었다”며 “저쪽(현 정권)은 지우려 하고 우리는 지울 수 없는 상황이라 많이 부대꼈다”고 말했다. “4개월 차장을 한 게 20년 검사 생활보다 더 길었고, 4일 동안 있었던 일이 4개월보다 길었다”는 고백도 내놨다.

노 대행은 이진수 차관으로부터 사실상 항소 포기 압박을 받았다고 주장해 왔다. 반면 이 차관은 “장관의 ‘신중 검토’ 의견만 전달했을 뿐”이라며 “지휘권 발동은 아니었다”고 부인했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그 정도 의지가 있었다면 서면 지휘를 요청했어야 한다”며 노 대행의 행보를 비판했다.

야권은 노 대행의 퇴임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퇴임식에서 구체적 외압 정황을 공개할 경우 파장은 법무부와 대통령실까지 번질 수 있어서다. 정부가 추진하는 ‘헌법 존중 정부혁신 TF’를 향한 공직사회의 반발도 거세다. 장동혁 대표는 “행정부에도 비명횡사가 시작됐다”며 “대한민국은 이제 재명이네 가족만 살아남는 동물농장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노 대행 사표는 법무부와 대통령실을 거쳐 대통령 재가를 받아야 한다. 사퇴 이후 검찰은 차순길 기획조정부장이 총장 대행을 맡는 ‘대행의 대행’ 체제로 전환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