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만석 “검찰 지키려던 선택…버티는 게 득 안 된다 판단”

2025-11-13     김남규 기자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대장동 개발 비리 1심 항소 포기 결정으로 검찰 내부 반발에 휩싸였던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스스로 물러나기로 했다. 노 대행은 “검찰을 지키기 위한 선택이었다”며 “이 시점에서 버티는 것이 조직에 득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노 대행은 12일 저녁 자택에서 취재진과 만나 “제가 빠져줘야 조직이 빨리 정착될 것이라 생각했다”며 “잘못한 게 없다고 부득부득 우겨봐야 조직에 도움이 안 된다고 봤다”고 말했다. 그는 “4개월간 차장으로 지낸 시간이 20년 검사 생활보다 더 길었고, 지난 4일은 그보다 더 길게 느껴졌다”고 토로하며 극심한 내부 갈등을 암시했다.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이후 검찰 내부에서는 수사·공판팀 검사들뿐 아니라 대검 연구관, 부장검사급 간부, 일선 검사장, 지청장 등 조직 전반에서 설명 요구와 거취 압박이 이어졌다.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은 “대검 판단은 수용하지만 중앙지검 의견은 달랐다”며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 등 공개 반발에 나서기도 했다.

노 대행은 현 정부와의 정책 이견도 시사했다. 그는 “전 정권이 기소한 사안이 현 정권의 문제로 인식돼 조율이 쉽지 않았다”며 “현 정권의 요구를 모두 받아들이기 어렵고, 검찰은 지울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이진수 법무부 차관과의 통화에서 “항소 우려와 선택지가 전달됐다”고 밝히며 법무부 입김 논란도 확산했다.

검찰이 항소를 포기하면서 항소심에서는 1심보다 더 높은 형을 선고할 수 없게 됐고, 무죄 판단을 받은 배임·뇌물·이해충돌방지법 등 핵심 혐의도 다투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노 대행의 사퇴 결정으로 검찰은 ‘대행의 대행’ 체제로 전환됐다. 사표가 대통령 재가를 거쳐 수리되면, 대검 부장 중 선임인 차순길 기획조정부장이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을 전망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장 인사가 조기에 진행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