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앞 삼성전자 임단협…성과급제 개선 요구 수용될까
노조 측, 11월말 임금단체협약 본교섭 예정
PSU·영업익 기준 성과급제 시행 쟁점될 듯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임금·단체협약(임단협) 본교섭을 앞둔 삼성전자가 노조의 성과급제 개선 요구를 수용할지 주목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은 지난 22일 홈페이지에 “다가오는 2026년 임금교섭은 회사의 불투명한 성과보상 체계를 바로잡고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모든 노조가 공동 교섭을 통해 최고의 협상력을 발휘하자”고 독려했다.
삼성전자의 모든 노조가 통합해 노조와 조합원이 함께 논의하는 열린 협의의 장을 만들자는 취지다.
현재 삼성전자 노조는 조합원 2만 8,000명의 전삼노가 대표적이다. 전삼노는 지난 9월 한기박 노조위원장을 비롯한 집행부 3명이 선출돼 삼성그룹노동조합 연대에 합류했다. 삼성전자 초기업 노조는 2만 1,000명으로 두 번째로 규모가 크다. 초기업 노조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 노조로 결성돼 현재 삼성화재,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전기까지 아우르는 통합노조로 확장됐다.
전삼노는 11월 말 깨 사측과 2026년 임단협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7월 반도체 불황 및 성과급에 대한 불만 등으로 창사 이래 첫 총파업을 겪은 삼성전자와 노조 측이 이번 협상에서는 원만하게 합의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노조의 요구사안은 SK하이닉스 같은 투명한 성과급제 시행이다. SK하이닉스는 앞으로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직원들에게 나눠주기로 했다. 올해 기준 산술적으로 1인당 1억원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다만 삼성전자는 일반직원의 경우 성과급이 연봉의 50%를 넘지 못한다는 규정이 있다.
회사가 주가 상승률에 따라 약정된 자사주를 지급하는 '성과연동 주식보상(PSU)‘도 교섭의 관전 포인트다. PSU는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제도다. CL 1~2(사원) 직원은 200주, CL 3~4(간부) 직원은 300주씩을 지급 약정하고, 3년 뒤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지급 주식 수량을 확정해 2028년부터 3년간 균등 분할 지급하는 게 골자다. 기준주가가 3년 뒤 20% 이상일 때부터 주식이 일괄 지급되고, 100% 이상 오르면 약정 수량의 두 배가 지급된다. 이에 노조는 PSU 지출에 따른 '초과이익성과급(OPI)’ 감소 가능성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삼성전자는 PSU와 별개로 임직원이 OPI 일부를 주식으로 받고 있다. 임원들은 ▲상무 50% 이상 ▲부사장 70% 이상 ▲사장 80% 이상 ▲등기임원 100% 등 직급에 따라 OPI 일부 또는 전체를 자사주로 받는다.
OPI는 자사주 지급 수량을 주가와 연동해 주가가 약정 체결 당시와 같거나 오르면 약정 수량대로 자사주를 받지만, 주가가 하락하면 하락률만큼 수량이 줄도록 했다. 내년부터는 직원들도 OPI 중 일부를 주식으로 선택해 받을 수 있다. OPI 중 일부를 주식 보상으로 선택한 직원은 1년간 보유하는 조건으로 주식 보상금액의 15%를 주식으로 추가 지급받게 된다.
오상훈 삼성그룹노동조합 연대 위원장은 “성과급제 개편은 수년 전부터 회사 측에 요구하고 있는 사안인 만큼 회사의 수용 여부에 따라 집회 등을 계획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 관계자는 “PSU는 기존 지급하던 OPI와는 별개로 엄연히 다른 것인 데도 불구하고 PSU의 지급으로 OPI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며 “노조 측과는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의견차를 좁혀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