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값, 국제시세보다 13% 비싸”…금감원, 금 투자 주의보 발령

2025-10-17     김남규 기자
ⓒ픽사베이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최근 국내 금 가격이 국제 금 가격보다 13% 이상 비싼 수준으로 치솟자 금융감독원이 개인 투자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소비자경보(주의)’를 발령했다.

금감원은 17일 “국내 금 가격과 국제 금 가격이 모두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최근 국내 금 시세가 국제 시세를 큰 폭으로 웃도는 비정상적 괴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투자자는 국내 금 가격이 평균적으로 국제 금 가격에 수렴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10월 16일 기준 국내 금 현물 가격은 1g당 21만8000원으로, 연초 대비 69.3% 상승했다. 같은 기간 국제 금 가격은 원화 환산 기준 19만3000원으로 53.4% 오르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국내 금 가격이 국제 가격보다 13.2% 높은 상황이다.

금감원은 “최근 5년간 국내 금 가격이 국제 금 가격보다 10% 이상 비쌌던 시기는 단 두 차례뿐”이라며 “괴리율이 10%를 넘는 경우는 전체의 1%에 불과한 이례적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월에도 국내 금 시세가 국제 시세보다 22.6% 높았으나, 18영업일 만에 평균 괴리율(0.7%)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금감원은 이처럼 “국내 금 가격은 수급 요인이나 정보 불완전성으로 일시적 괴리가 생길 수 있지만, 결국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라 국제 시세에 수렴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금감원은 투자자들에게 금 관련 금융상품의 기초자산이 ‘국내 금 가격’을 추종하는지, ‘국제 금 가격’을 추종하는지를 반드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금 가격 급등으로 관련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관심이 높지만, 가격 괴리율이 확대된 상황에서 무리하게 투자할 경우 손실 위험이 크다”며 “상품 구조와 기초자산 가격 차이를 충분히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금 가격과 국제 금 가격은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KRX-일반상품-금)이나 증권사 HTS·MT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