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방위 '해킹국감' 예고…이통3사 CEO, 줄소환 되나
김영섭 KT 대표 두 번 소환…21일 이통3사 CEO 집결 예정
SKT·KT 늑장 대응 질타 집중될 듯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오는 21일 열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 이동통신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수장들이 나란히 출석해 해킹국감이 예상된다. 국감에선 SKT와 KT의 해킹 사건 관련 늑장 대응에 관한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과방위는 오는 21일 열리는 국정감사에서 이통3사 CEO들을 불러 최근 잇따라 발생한 통신·전산망 장애 및 보안 사고 관련 질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별 보안 사고 대응 과정뿐 아니라 내부 통제 시스템의 적정성 등에 대해 들여다볼 것으로 전해진다. 김영섭 KT 대표는 14일에 이은 두 번째 출석이다.
먼저 지난 4월 발생한 해킹사태로 곤욕을 치른 SKT에 이어 최근 이용자 대상 소액결제 피해와 해킹이 발생한 KT의 늑장 대응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황정아 과방위 소속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KT가 파악한 소액결제 피해는 9월 3일 기준 278명(527건)에 달하며 이후 총 16일간 발생했다. 다만 최초 발생일은 8월 5일로 언론 보도로 알려진 시점보다 한 달이나 앞선 날짜라는 것. 8월 5~20일 한 자릿수에 머물던 무단 소액결제 건수는 21일과 26일에 각각 33건, 27일에는 106건을 기록하며 급증세를 보였다. KT는 9월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소액결제 피해 분석을 요청받았으나 스미싱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즉각 대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어 2일과 3일에도 각각 109건의 무단 결제가 발생해 조기 대응 실패가 피해 확산으로 이어졌다는 게 황 의원의 지적이다.
황 의원은 소액결제 피해와 관련해 경찰과 KT의 조사결과가 다르다는 것도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황 의원이 KT와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경찰청이 파악한 소액결제 피해자 214명 가운데 19명이 KT의 전수조사에서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로 분석됐다는 설명이다.
SKT의 경우 4월 18일 해킹 발생을 인지한 이후 고객들에게 해킹사실을 밝힌 시점이 4일 뒤인 22일이었다. 유영상 SKT 대표가 고객 정보 보호 조치 설명회를 한 시점은 같은 달 25일로 사건 발생 이후 일주일이나 지난 뒤였다. 이후 SKT가 유심교체 전면 시행을 밝힌 게 4월 28일로 고객들은 10일간 우왕좌왕하며 큰 불편을 겪었다.
이와 함께 지난해 국감에서 지적된 바 있는 5G보다 비싼 LTE 요금제 문제를 비롯해 이통3사가 선택약정 할인제를 통해 요금할인 혜택을 신청하지 않은 무약정 가입자들로 연간 2조2,776억원의 추가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는 문제도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지적은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의 제기 사안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방위가 오는 21일 국감에 이통3사 CEO들을 줄소환할 예정인 만큼 ‘해킹국감’이 예상된다”며 “LG유플러스의 경우 해킹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대규모 해킹 사태로 인한 보안 관리 체계의 적절성을 묻는 질의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SKT 해킹 발생 이후 80만명의 가입자가 이동한 반면 KT는 가입자 이탈이 거의 없었다는 것은 해킹에 대해 국민들이 무뎌졌다는 방증이라 할 수 있기에 해결책 마련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같은 날 구현모 전 KT 대표를 비롯해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윤정식 KT텔레캅 사외이사 등도 참석해 KT 사장 교체와 관련한 의원들의 질의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황성혜 구글코리아 부사장, 박민 전 KBS 사장 등도 과방위 국감에 소환이 예정된 기업인 증인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