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석유화학 구조조정 ‘금융 틀’ 마련…업계 조속히 계획 내라”

2025-09-30     김남규 기자
ⓒ금융위원회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정부와 금융권이 석유화학 산업 구조개편을 위한 금융지원 체계를 공식 가동했다. 정상기업을 대상으로 선제적 금융지원을 통해 자구노력을 뒷받침하고, 산업 경쟁력 회복을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은행연합회는 3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산업 구조혁신 지원 금융권 협약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17개 시중은행과 정책금융기관(신보·기보·무보·캠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이 참석해 ‘산업 구조혁신 지원을 위한 채권금융기관 자율협의회 운영협약’을 체결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석유화학 산업이 글로벌 공급과잉과 경쟁력 약화로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며 “금융권이 정부와 보조를 맞춰 정상기업에 선제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산업계와 금융권 모두가 상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번 협약은 선제적 사업재편의 틀을 만든 의미가 있다”며 “석유화학 산업이 첫 적용 사례가 될 것”이라며 “업계의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 여전히 부족하다.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려면 기업들이 실행 가능한 청사진을 서둘러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은 협약 실행 과정에서 만기연장이나 금리조정이 이뤄지는 채권의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을 명확히 해달라고 건의했다. 

금융당국은 “정상기업을 대상으로, 철저한 자구노력과 수익성 개선을 전제로 하는 지원”이라며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라 자산건전성을 상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기업이 주채권은행에 구조혁신 지원을 신청하면 채권은행들이 자율협의회를 꾸려 외부 공동실사와 사업재편계획 타당성 검토를 진행한다. 이후 산업부 승인을 거쳐 금융지원 방안이 담긴 ‘구조혁신 약정’을 체결, 본격적인 사업재편에 착수한다. 금융지원은 원칙적으로 기존 조건을 유지하며 만기연장, 이자유예, 금리 조정 등이 가능하고 필요 시 신규자금 지원도 이뤄진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권은 이미 준비를 마쳤다”며 “석유화학 업계가 구체적 계획을 내고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