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르자 경매도 '후끈'…한강벨트 지역 고가 낙찰 속출
9월 낙찰률 3년3개월만에 최고
[SRT(에스알 타임스) 이정우 기자] 최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광진·동작구 등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가열되면서 경매 시장도 달아오르고 있다. 한강벨트 지역에서는 낙찰가가 감정가의 100%를 넘는 고가 낙찰이 속출하고 있다.
28일 법원경매정보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26일까지 진행된 9월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률(경매 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은 50.2%를 기록했다. 경매 총 209건 가운데 절반이 넘는 105건이 낙찰된 것이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이 50%를 넘은 것은 지난 2022년 6월(56.1%) 이후 3년 3개월만에 처음이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격 비율)도 강세다. 9월 현재 낙찰가율은 평균 97.3%로 6·27 부동산 대책 전인 지난 6월(98.5%) 이후 석달만에 가장 높다.
한강벨트 지역은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성동구의 아파트는 이달 경매로 나온 8건이 모두 낙찰되며 낙찰률이 100%다. 지난 15일 서울동부지방법원 경매1계에는 총 5건의 아파트가 경매에 부쳐졌는데 송파구 오금동의 위반건축물 1건을 제외하고 성동구의 아파트 4건이 모두 1회차 경매에서 감정가 이상 고가 낙찰됐다.
성동구 하왕십리동 텐즈힐 아파트 전용면적 60㎡는 감정가가 12억3,000만원인데 첫 경매에서 감정가의 125%인 15억3,190만원에 낙찰됐다. 낙찰자가 감정가보다 3억원 이상 비싼 값을 써낸 것이다.
역시 같은 날 서울 성동구 금호동4가 대우아파트 전용 115㎡는 감정가 17억2,800만원의 111%인 19억2,000만원대에 팔렸고, 같은 아파트 전용 85㎡는 감정가(13억6,000만원)의 104%인 14억2,107만700원에 낙찰됐다.
성동구 응봉동 대림강변타운 전용 84㎡의 경우 14억3,600만원의 113%인 16억2,111만원 낙찰됐다.
광진구 자양동 성원아파트 전용 59㎡가 첫 경매에서 감정가(9억5,200만원)의 112%인 10억6,30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동작구 상도동 상도효성해링턴플레이스 전용 84.8㎡는 감정가(11억9,000만원)이 113.8%인 13억5,432만원에 낙찰했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용산구(106.7%)와 성동구(104.4%), 마포구(103.3%) 등 마용성 지역은 이달 들어 구별 평균 낙찰가율이 100%를 넘어섰다"고 말했다.
성동·마포·동작·광진구 등은 현재 비규제지역이다. 하지만 최근 이 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규제지역 확대,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추가 규제가 가시화되고 있다. 한강벨트를 비롯한 서울 아파트 시장의 경매 열기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