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자제품 강제 인증 도입…삼성·LG전자 영향은

2025-09-25     방석현 기자
▲서울 영등포구 LG전자 사옥. ⓒLG전자

LG, 녹색 기술 적극 활용…상반기 62억원 정부 지원받아

마케팅 주력 중소기업 영향 받을 듯

[SRT(에스알 타임스) 방석현 기자] 중국이 전기·전자제품 관리를 위해 최초로 강제성 국가표준 도입을 예고했다. 중국 전기·전자산업의 녹색 전환에 따라 유해물질 목록에 대한 제품 분류 체계를 도입해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취지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가 최근 전기·유해 물질 제한사용 요구사항에 대한 강제성 국가표준(GB 26572-2025)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중국 전기·전자제품 분야에 최초로 제정한 강제 국가표준으로 2027년 8월부터 정식 시행된다. 기존 제품들은 2028년 8월 1일까지 판매가 허용된다.

이에 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중국이 제품 전 주기에 걸쳐 친환경 관리를 도입함에 따라 이에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 재편을 예상했다. 국내 친환경 소재, 장비, 기술 수요 기업들이 중국과의 다양한 협력 기회 확대도 기대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중국 제품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글로벌시장 경쟁 심화도 예상된다고 했다.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의 인증을 받은 제품은 두 가지 표식을 부여받는다. 유해 물질이 포함돼 있지 않고 친환경 제품임이 강조되고 제품 또는 일정 유해 물질이 포함돼 있으나, 숫자로 표시된 환경보호 사용기한(EFUP) 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가 부여된다.

KOTRA 관계자는 “법 시행에 따라 중국 기업들이 단순 가격경쟁력에서 벗어나 차별화된 제품, 기술력을 마케팅 소구 포인트로 삼을 것이 예상되는 만큼 국내 기업들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강제 인증 도입으로 국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영향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정부가 2010년부터 시행하기 시작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녹색기술 인증' 제도를 시행 중이다. 녹색기술 인증은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이용 효율화, 청정에너지 등의 사회, 경제활동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해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대한 인증이다. 기술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친환경성까지 고려된 인증 제도다. 연구개발(R&D)에 힘쓰고 있는 다수의 국내 기업들은 인증을 통해 정부로부터 R&D 비용을 지원받고 있다. 

삼성전자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주요 지역별 매출은 중국이 28조7,918억원으로 미주(33조4,759억원)에 이은 두 번째로 크다. 가전 등이 포함된 디지털 경험(DX) 부문 매출 95조 가운데 30% 정도가 중국에서 발생하는 셈이다. 반기 기준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11.8%로 전체 연구개발비 18조원 가운데 120억원 가량을 정부보조금으로 받고 있다.   

LG전자의 경우 반기 기준 전자제품 매출 22조원 가운데 중국이 포함된 아시아·아프리카 매출이 8조7,886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비중이 36%다. 이 회사는 3건의 녹색기술 인증과 함께 이를 제품에 실제로 적용해 상용화한 제품에 인증 마크를 부여받은 '녹색기술 인증제품 확인제도'를 통해 4건의 인증을 획득한 상태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3%로 반기 기준 1조 8,705억원 연구개발비 가운데 62억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이 친환경 강제 인증을 예고한 만큼 대기업들은 다수의 녹색기술인증을 보유해 영향이 덜 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연구개발보다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는 중소기업에 영향이 더 클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상대적으로 연구개발보다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녹색기술 인증과 제품 적용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중소 가전 업체 한 관계자는 “친환경 원재료 사용, 제조 방식 변경 등으로 중국의 변경된 제도에 대응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