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 인하 기조 유지…건설 경기 부진 지속”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은은 이날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다. 이 총재는 건설 경기 부진과 낮은 성장률, 수출 등 대내외 하방 요인을 고려해 신중한 통화정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물가는 안정적이지만 성장세는 불확실하며,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추이를 더 살펴야 한다”며 “현재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며 대내외 여건 변화를 점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이번 동결 결정은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정책 공조를 염두에 둔 조치라고 덧붙였다.
금통위원회의 소수 의견으로는 2.25%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의견이 나왔으며, 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는 5명의 위원이 동의했다고도 밝혔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 사이클이 축소된 것이 아니라 시기를 조정한 것이라며, 추가 부동산 대책과 정책 효과를 확인하는 시간을 두기 위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한은 전망에 따르면 내년 경제성장률은 1.6%로, 상반기까지 낮은 성장률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 기조는 유지하되, 시점과 정도는 경제 상황과 금융안정을 함께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며 “금리 인하가 성장률 제고에 기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확대 등 부작용 가능성도 면밀히 검토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기자간담회에서는 건설 경기 부진이 하반기 성장률의 가장 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환율과 수출, 관세 협상 등 대외 요인도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이에 한은은 수도권 주택가격과 월세 변화가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되므로 금융안정과 정책 공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단기적으로 금리 정책만으로는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회복시키기 어렵다”며 “향후 금리 결정 과정에서 금융안정은 항상 중요한 고려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